- 영문명
-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the Motivation of Marine Tourism and the effect of Marine Tour Activities on Tour Satisfaction and Image - Focused on Busan Area -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김성혁 김용일 오재경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27권 제1호, 17~3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산지역을 방문한 해양관광객들의 방문동기 유형에 따른 인구 통계적 특성 및 해양관광활동 유형의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고, 해양관광활동이 관광만족과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부산지역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1년 7월 한 달 동안 주말을 기점으로 부산지역을 방문한 해양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00부를 배포하여 422부를 회수하고 이 중 다수의 결측값이 존재하거나 조사취지에 적합하지 않는 65부를 제외한 357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 첫째, 해양관광객들의 방문동기 요인은 가족화합, 일상탈출, 관광지 문화체험, 관광지 경관체험, 해양레저 등의 5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군집분석 결과 다목적 방문형, 체험목적 방문형, 단순 방문형 등 3개 군집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방문동기 군집유형에 따른 해양관광활동의 차이를 고찰한 결과 다목적 방문형은 경관/유람, 해양스포츠, 휴식/휴양 등의 모든 해양관광활동에서 높은 참여정도를 나타냈으며, 단순 방문형의 경우 상대적으로 해양관광활동에 낮은 참여정도를 나타냈다. 셋째, 해양관광활동이 관광만족과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고찰한 결과 경관/유람의 관광활동이 관광만족과 관광지 이미지에 가장 큰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 해양스포츠의 순으로 나타났다. 휴식/휴양의 관광활동은 관광만족과 관광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해양관광활동에 대한 관광만족은 해양관광목적지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way of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the motivation of marine tourism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marine tourism activities between market segmentation. Among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57 questionnaires were 357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ive factors for the motivations were extracted such as "family togetherness", "escaping from routine", "experiencing culture", "experiencing landscape", "leisure sports". Secondly, three cluster groups were segmented based on five factors by cluster analysis: "multi-purpose visiting", "experience-purpose visiting", "passive visiting". Thirdly, there were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in sightseeing, leisure sports, and rest.
Finally, The sightseeing and leisure sport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ly effect on tour satisfaction and tourism destination image. there is a positive influence of tour satisfaction on tourism destination imag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