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on Job Attitud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도현옥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27권 제2호, 137~15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호텔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직무만족,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호텔기업의 독특한 조직문화가 호텔종사자의 직무태도에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가설 1의 검증결과로 감정노동의 심화행동은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표면행동은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는 감정노동의 심화행동이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계문화는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호텔 종사원들이 고객에게 보여야 하는 긍정의 감정을 느끼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고객을 대할 때에 진정성 있게 대하고, 표현하는 감정과 느끼는 감정을 일치시키기 위해 노력한다면, 감정노동도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낸 것이라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on job attitude.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was also t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had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But surface acting didn"t. 2)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had partially mediated effects on the between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job involvement. But hierarchical culture didn"t. In conclusion, if hotel employees try to do their best to find the positive emotion for customer, to express truly and to harmonize express emotion and feeling emotion, produce good results which become positive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과 가설설정
III. 실증분석
IV. 자료 분석 및 해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