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of Bilateral Diabetic Papillopathy Related to Rapid Hemoglobin A1c Decrease in Type I Diabetes Mellitu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정승일(Seung Il Jung) 한지상(Ji Sang Han) 김도균(Do Gyu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12, 1985~199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국문 초록
목적: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급격한 당화혈색소 감소로 인해 유발된 양안 당뇨유두병증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9세 여자로 본원 내분비 내과에서 제1형(Type I) 당뇨병으로 진단 받았다. 최초 당뇨병 진단 시 당화혈색소 수치는 15.3%였고, 이때 시행한 안과적 검사에서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1.0, 좌안 1.0이었으며 시력저하, 시야결손 등의 자각 증상은 없었으나 안저검사에서 가벼운 비증식당뇨망막병증의 소견이 보여 정기적으로 경과관찰하기로 했다. 인슐린을 이용해 혈당을 조절하여 두 달 후 당화혈색소는 7.6%로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최초 당뇨병 진단 3달 후 안과 정기검진에서 최대교정시력 및 자각 증상의 차이는 없었으나 안저검사에서 양안 유두부종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유두부종의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시행한 시신경기능검사, 망막의 형태 및 혈류검사와 뇌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특이소견을 보이지 않아 양안 당뇨유두병증으로 진단하고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관찰하는 도중 양안 유두부종은 거의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본 증례는 제1형(Type I) 당뇨병 환자에서 급격한 당화혈색소 감소가 양안 당뇨유두병증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급격한 혈당조절이 양안 당뇨유두병증의 위험인자일 것이라는 이전 연구결과를 뒷받침하는 증례라 생각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bilateral diabetic papillopathy related to rapid hemoglobin A1c (HbA1c) decrease in a type I diabetic patient.
Case summary: A 39-year-old female who was diagnosed with type I diabetes mellitus for the first time at this hospital was presented to our clinic for evaluation of diabetic retinopathy. There were no subjective symptoms, including blurred vision or visual defect. Her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in both eyes was 1.0, but her fundus resembled mild 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When diagnosed with type I diabetes mellitus, her HbA1c was 15.3%. She used insulin to control her blood glucose and her HbA1c reached 7.3% two months after controlling the blood glucose. Three months after her diabetic diagnosi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ubjective symptoms and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Fundus examination showed optic disc swelling in both eyes. To evaluate for the etiology of optic disc swelling, we did the examinations of the optic disc, fundus,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No specific signs were observed. We diagnosed diabetic papillopathy and observed the patient without any treatments. Her optic disc swelling showed gradual improvement.
Conclusions: This case shows that the rapid HbA1c decrease in type I diabetes mellitus i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bilateral diabetic papillopathy. This supports previous studies that estimated that the rapid HbA1c decrease in type I diabetes mellitus in response to insulin treatment is one of the risk factors for bilateral diabetic papillopath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