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of Eyelid Paraffinoma Misdiagnosed as a Chalaz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권진영(Jin Young Kwon) 한지상(Ji Sang Ha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12, 1965~1968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국문 초록
목적: 파라핀종은 신체부위에 삽입된 파라핀이나 기름성분의 이물에 대한 육아종성 조직반응에 의해 발생한다. 콩다래끼로 오인되어 진단이 늦어진 파라핀종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17년 전에 눈가 주름을 없애고 콧등을 높이기 위해 비의료인에게 우측 외안각 부위와 콧등에 파라핀 주입술을 시행 받은 49세 남자 환자가 3달 전부터 생긴 우안 아래눈꺼풀의 종괴, 부종, 발적 및 우안 위눈꺼풀의 종괴와 부종을 주소로 내원하여, 조직검사상 파라핀종으로 진단되었다. 스테로이드 국소주사로 병변은 일부 호전되었고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에는 반응하지 않았다.
결론: 눈꺼풀테에 생긴 파라핀종은 다래끼로 오인될 수 있으며, 주사 후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발생할 수 있고 주사부위에서 이동하여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병력청취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Paraffinoma is a granulomatous reaction to paraffin or oily substances. We report delayed diagnosis of paraffinoma that was misdiagnosed as chalazion.
Case summary: A 49-year-old male presented with masses, swelling, and erythema in the right lower eyelid, masses and swelling in the right upper eyelid, and intermittent conjunctival injection that had appeared 3 months ago. The patient admitted having received paraffin injection to the right lateral canthal area and nasal bridge for cosmetic purposes by non-medical personnel 17 years prior to presentation. The mass showed partial response to intralesional triamcinolone injection but did not respond to systemic steroid.
Conclusions: Paraffinoma can present diagnostic confusion given its protracted latency period and discordance of injection area and mass location. Detailed history taking is required and the possibility of paraffinoma should be considered for mass lesions of the eyeli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