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mong the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tel Employees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최해수(Choi, Hae-Soo)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30권 제3호, 325~3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호텔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수행하는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들 간의 영향관계에 조직차원에서 지원되는 인지된 조직지지의 정도가 조절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한 실증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 및 대구에 소재하고 있는 호텔기업 12개 호텔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조사를 통해 가설을 수립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단순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위해 Baron & Kenny(1986)의 방법과 SPSS Macro(Preacher & Hayes, 2004)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지된 조직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Hayes, 201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호텔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은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을 거쳐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영향 역시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을 거쳐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인지된 조직지지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검증에서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된 조직지지의 값이 낮은 영역에서 유의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imed at analys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mong the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working at hotel companies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author established the 5 hypotheses on the base of theoretical studies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The sampling size is 241 peoples of 12 hotel companies. The author used the SPSS 15.0 as a analysis tool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s of causal effects analysis, and analysed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to analyse the causal effect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a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 order to analys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analysed by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 and to analys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it was used the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emotional labor turned to has negative effect significantly to job satisfaction. Second, it turns out to has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urned out to has the mediation effect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astl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oderated the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via job satisfaction, that is moderated mediation effec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설정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