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Information Quality of Mobile Travel Contents using Technical Acceptance Model (TAM) on Customer Reuse Intention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박성준(Park, Sung-Jun) 박철호(Park, Chul-ho) 한수정(Han, Su-Jung)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30권 제3호, 57~8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모바일 콘텐츠의 생명이라 할 수 있는 정보품질을 모바일 여행콘텐츠에 적용하여, 이용자의 지각된 유용성, 이용편리성과 이용태도 및 재이용의도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고, 모바일 여행콘텐츠를 개발하거나 활용하고자 하는 여행사 및 관광기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본 연구는 모바일 여행콘텐츠 정보품질은 지각된 유용성, 이용편리성과 이용태도 및 재이용의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둘째, 현재 스마트폰과 SNS로 대변될 수 있는 ‘스마트 관광’의 시대가 도래함으로써 중요성과 파급력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기존 웹사이트에서 여행정보를 제공하던 여행업체들에게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이용자들의 모바일 여행콘텐츠의 수요와 콘텐츠의 정보품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실무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모바일 여행콘텐츠를 이용한 후 유용하다고 느낀 이용자들의 이용태도와 재이용의도를 연구하였다. 모바일 여행콘텐츠의 경우 여행이나 그와 관련된 정보를 얻기를 원할 때 이용하기 때문에 이용하는 빈도수는 다른 콘텐츠에 비해 높지 않다. 따라서 이용자들의 태도와 이용의도에 대해 규명해 봄으로써 지속적인 사용과 여행업체의 홍보전략에도 긍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 실무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연구의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보다 심화시킬 필요가 있는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nformation on mobile travel content, learn about the quality factor,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hese external variables, perceived usefulness to the user"s attitude, behavior also affects is about what you want investigated. Through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following implications may be present. First, the smart-phone and SNS with the proliferation of fast-changing mobile environment, taking into account information that could be called the life of the content quality and users" perceived usefulness were analyzed. Second, using the user"s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analysis for both the two factors affect the attitudes of users, but use the convenience that affect usability more than the demographics. Third, the mobile travel content and users" attitudes about the quality of information were analyzed. As a means of obtaining information because there are a lot of experience with most websites, a new mobile users in the system they want, travel information by category to easily find appropriately structured may want to suggest that. Finally, the present study wit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has a few,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need to be more intensified i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s to propos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