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riority Analysis of Project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in the Agricultural Sector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Won Hee Jeong Il Hyeong Cho In Seok Seo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11호, 199~22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농업분야 기후변화 영향ㆍ취약성 평가 및 실태조사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시행규칙 5조 1항에서 명시하고 있는 5가지 법적 위임 업무에 대한 19개의 세부과제를 도출하고, 이들 간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중점과제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은 기상ㆍ기후의 이상 변화 조사(0.275)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중점과제와 세부과제를 종합한복합가중치 우선순위 분석결과에서는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조사를 위한 추진기구 설립(0.178)이 가장 높은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상이 농작물 생산성에 주는 필지별 변동평가(0.092), 전국 농작물별 이상기상 발생 변동평가(0.076), 전국 고해상도(30m) 기상값 산출 및 평가(0.067), 식량작물, 과수, 채소의 재배적지 변동평가(0.063)도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build fundamental foundation of an assessment and conditional survey on the impact/vulnerability by climate change in the agricultural sector. It derived and prioritized 19 detailed tasks concerning the five legal entrusted businesses stipulated in Paragraph 1, Article 5 of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Farming and Fishing Village Food Industry Fundamental Law.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bnormal weather and climate change investigation was found to be regarded as a top priority among the main tasks (0.275).
Second, the analysis of the complex weighted values combining the main tasks with the detailed tasks show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promotion organization investigating climate change impact and vulnerability was given the highest priority (0.178). Lastly, a relatively high priority was given to the assessment of the change in agricultural produce productivity affected due to weather (0.092).
목차
I. 서론
II.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논의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