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tents and Quality of Online News Articles on Preventive Food for MERS during MERS Outbreak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Heeyoung Oh Ahra Jo Jeongah Park Eunha Gil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11호, 167~18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메르스 확산 초기 6주 동안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통해 보도된 메르스 예방식품 언론기사에 대한 내용과 정보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인터넷 검색 점유율이 가장 높은 네이버 포털 사이트에 보도된 메르스 예방식품 관련 기사 65건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출처가 불분명한 하거나, 신뢰도가 낮은 출처를 인용한 경우, 광고성 기사가 많았다. 기사화된 식품의 종류나 성분은 메르스 예방에 특별한 효능이 있는 것이 아닌 일반적으로 면역력 강화식품 이었다.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 이용자들이 정보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고 광고성 기사일 가능성에 대해 대하여 인식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정보를 찾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모두에게 정보의 정확성, 신뢰성, 유용성의 중요함을 강조하고 개선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quality of online news articles on preventive food for 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reported on the online news portal website. The news articles containing relevant information reported between May 20 and July 1, 2015 were retrieved from NAVER, the most popular online news portal website. Of a total of 469 news articles retrieved, only 65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DISCERN tool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and quantitative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47.7% of them were determined as a reliable source of the information, while approximately 40% were just for advertising. Overall,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was far from satisfactory.
and the contents and quality of the information were found to vary significantly. The education programs emphasizing scientific soundness,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health-related information would be needed to provide for those seeking and reporting the health information
목차
Ⅰ.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