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anguage Expressions by Laypersons Observing Cardiac Arrest Situations and Determinants of Cardiac Arrest Recognition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Eun Kyung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11호, 73~8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심정지 환자를 목격하였을 때 일반인이 묘사하는 언어적 표현을 파악하고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해 심정지를 인지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을 예측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3월 1일부터 2014년 3월 31일까지이며 연구방법은 연구 대상자에게 심정지 동영상을 보여주고 119구급상황실에 신고할 때 사용하는 언어적 표현을 설문지에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총 349부를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의사결정나무분석, chi-square tes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심정지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된 요인을 파악해 보았을 때 호흡표현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는 무의식과 무호흡 심정지를 가장 높게 인지하였으며 무의식과 경련을 하는 심정지와 비정상적인 호흡을 보이는 심정지의 인지는 낮았다. 비정상적인 호흡을 보이거나 경련을 하는 심정지 상황에서의 심정지 표현은 주로 생존의 가능성을 보이는 ‘호흡을 하는 중이다’, ‘정상호흡이다’, ‘발작이다’ 등과 같은 표현을 하였다. 따라서 병원 전 심정지 인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비정상적인 호흡을 보이는 심정지와 경련을 보이
는 심정지 환자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며 이때에는 심정지 상황을 묘사하는 시청각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predict the determinants affecting cardiac arrest recognition through decision tree analysis on language expressions used by laypersons observing a cardiac arrest patient. The survey period was March 1, 2013 through March 31, 2014. The breathing expression was found as a common factor affecting cardiac arrest recognition among the survey participants. They showed low recognition levels of cardiac arrest with unconsciousness and convulsion or abnormal breathing, while they showed the highest recognition on cardiac arrest with unconsciousness and apnea. They used expressions like: 'is breathing’, ‘normal breathing’, ‘seizure’ for the cardiac arrest situations with abnormal breathing and convulsion.
Thus, in order to enhance cardiac arrest recognition before patients are taken to the hospital, audiovisual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patients with a risk of cardiac arres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찰
V.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