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erience, Awareness and Preparedness of Disaster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Chung-hee Woo Jae Yong Yoo Ju-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11호, 19~3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난간호 교육과정의 기초자료를 준비하기 위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재난경험, 재난에 대한 인식정도와 개인의 재난준비도 간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재난인식도는 5점 기준으로 평균 3.71점이었고 재난준비도는 4점 기준으로 총점 0.54점이었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재난경험에 따른 재난 인식도와 재난준비도에 차이가 있었다. 재난에 대한 인식과 재난준비도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전체항목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재난인식의 하위 개념인 재난에 대한 심각성 인식 정도와 재난준비도 (r=.10, p=.036)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일반적 특성과 재난경험에 따른 재난 인식도와 재난준비도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재난 인식도와 재난준비도 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어 추후 간호대학생이 재난경험에 노출되어 재난을 제대로 인식해야 하며 실제 재난에 대응대비 하도록 유도 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실제 임상실무와 연계를 위하여 학부에서부터 재난 교육이 시작되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experience, awareness and preparedness of disaster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for development of the disaster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The average score of disaster awareness was 3.71 out of 5 points, while preparedness of disaster was 0.54 out of 4 point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on the association between awareness on disaster and preparedness on disaster.
However, awareness of seriousness of disaste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preparedness on disaster (r=.10, p=.036). We argue from this study that the disaster nursing educational curriculum would help improve the awareness and preparedness of disaster among nursing students and disaster education should begin as early as in the undergraduate level for better linkage to the actual clinical practi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