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urgical Results of Patients with +3.00 Diopters or More Hyperopia and Exotropi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문태환(Tae Hwan Moon) 최미영(Mi 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11, 1777~178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국문 초록
목적: +3.00디옵터(D) 이상의 원시를 동반한 간헐 또는 항상외사시 환자에서 수술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외사시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굴절력이 +3.00D 이상이고, 수술 후 경과 관찰 기간이 6개월 이상인 27명을 대상으로 정하였다. 초진 시 나이, 시력, 원시의 정도, 약시의 유무, 수술 전 안경의 원시 도수 감량 정도, 수술 전 원시 교정에 따른 외사시각의 변화 그리고 최종 수술 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초진 시 나이 평균 5.4세, 수술 시 나이 평균 7.3세였다. 원시 도수가 높은 눈이 3.86 ± 1.35D, 낮은 눈이 1.31 ± 1.19D, 27명 중 14명에서 약시가 있었다. 초진 시부터 수술 시까지 원시 안경 도수를 평균 1.35 ± 1.06D 감량하였다. 외사시각은 원거리 26.8 ± 7.7PD, 근거리 28.2 ± 8.9PD였다. 수술 후 평균 12개월째의 수술 성공률은 70.4%였고, 실패 원인은 모두 외사시의 재발이었다. 수술 실패군 8명 모두에서 초진부터 수술 전까지의 기간 동안 원시 도수가 낮은 눈의 원시 안경 도수를 완전히 감량하였고, 수술 실패군에서 원시 도수가 높은 눈의 원시 도수 감량비율이 수술 성공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컸다( p =0.004).
결론: +3.00D 이상의 원시를 동반한 외사시 환자에서 수술 전 약시의 빈도가 높았다. 수술 실패의 주 원인은 외사시의 재발이었으며, 재발된 군에서 수술 전후 원시의 감량 정도가 컸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surgical result of patients who had intermittent or constant +3.00 diopter (D) or more exotropia and hyperopia.
Methods: Twenty-seven patients who had an operation for +3.00 D or more hyperopia and exotropia were included. The dura-tion of follow-up was 6 months or more after surgery. Age at the initial visit,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s, presence of am-blyopia, reduced rate of hyperopic correction, changes in exodeviated angle after reduction of hyperopic correction, surgical re-sults and postoperative data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age at the initial visit was 5.4 years and at surgery was 7.3 years. The mean degree of hyperopia in the worse eye was 3.86 ± 1.35 D and the better eye 1.31 ± 1.19 D. Fourteen of the 27 patients had amblyopia. The degree of reduced hy-peropia correction was 1.35 ± 1.06 D during the preoperative period. The initial angles of deviation were 26.8 ± 7.7 prism diopters (PD) at distance and 28.2 ± 8.9 PD at near. At postoperative 12 months, 19 of 27 patients (70.4%) achieved deviated angle with-in 10 PD. The cause of surgical failure was recurrence of exotropia. All the surgically failed patients had reduced hyperopic cor-rection of the better eye before surgery. Reduction rate of hyperopic correction in the surgically fail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surgically successful group (p = 0.004). Conclusions: There was a high incidence of amblyopia in the patients with +3.00 D or more exotropia and hyperopia before surgery. The cause of surgical failure was the recurrence of exotropia, and the degree of reduced hyperopic correction in the sur-gically failed group was larger than in the surgically successful group.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