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nge in Visual Acuity Following Trans-Scleral Diode Laser Cyclophotocoagulation in Refractory Glaucom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한민(Han Min Lee) 김경남(Kyong Nam Kim) 김창식(Chang Sik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11, 1759~176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국문 초록
목적: 난치성 녹내장 환자에 시행한 공막경유 다이오드레이저 섬모체광응고술이 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공막경유 다이오드레이저 섬모체광응고술을 시행하고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148명 148안의 의무기록을 후향 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시술 전 시력이 ‘광각 있음’ 이상인 49명(1군)과 ‘광각 없음’이었던 99명(2군)으로 분류하여 섬모체광응고술 후 시력 변화를 포함한 임상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군은 19.1 ± 13.5개월, 2군은 16.7 ± 12.7개월이었다. 1군과 2군에서 안압( p <0.001), 안압하강제의 수( p <0.001)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전체 환자에서 시술 전 최대교정시력은 2.4 ± 0.9 logMAR에서 시술 후 2.5 ± 0.8 logMAR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지만( p =0.612), 1군에서는 1.4 ± 1.0 logMAR에서 1.9 ± 1.1 logMAR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0.001). 1군의 31안(63.3%)에서는 시술 후 0.2 logMAR 이상의 시력저하가 관찰되었고, 이들 중 15안(30.6%)에서는 광각소실이 발생하였다. 전체 환자에서 합병증으로는 각막부종이 5안(3.4%)에서 관찰되었고, 안구로, 만성 저안압이 각각 3안(2.0%), 포도막염이 2안(1.4%)에 서 발생하였다.
결론: 난치성 녹내장 환자에서 공막경유 다이오드레이저 섬모체광응고술은 안압하강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시력이 있는 환자에서는 유의한 시력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trans-scleral diode laser cyclophotocoagulation (TSDLC) o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in patients with refractory glaucoma.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48 eyes of 148 patients with refractory glaucoma who were followed-up for over 6 months af-ter TSDLC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mong them, 49 eyes of 49 subjects who had BCVA greater than no light perception (NLP) before TSDLC were classified as Group 1 and the other 99 eyes of 99 patients who had NLP vision were classified as Group 2. The outcomes of TSDLC including change in BCVA following surgery were analyzed for all patients and 49 subjects.
Results: The mean follow-up period in Group 1 was 19.1 ± 13.5 months and 16.7 ± 12.7 months in Group 2. The intraocular pres-sure (IOP) and the number of IOP lowering medications decreased in both groups (both p < 0.001). In all subj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CVA before surgery and at the last follow-up (2.4 ± 0.9 log MAR and 2.5 ± 0.8 log MAR, re-spectively, p = 0.612). However, in Group 1, BCVA was decreased from 1.4 ± 1.0 to 1.9 ± 1.1 log MAR after the TSDLC (p < 0.001). In those patients, visual loss ≥ 0.2 log MAR was found in 31 eyes (63.3%) and light perception was lost in 15 eyes (30.6%). After treatment, corneal edema developed in 5 eyes (3.4%), phthisis bulbi and chronic hypotony occurred in 3 eyes each (2%) and iri-docydlitis occurred in 2 eyes (1.4%).
Conclusions: TSDLC in patients with refractory glaucoma showed an efficient reduction in IOP and the number of IOP-lowering medication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loss in BCVA in many patients and therefore, careful monitoring regarding poten-tial visual loss is necessary when considering TSDLC in glaucoma patients with useful vision.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