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hange in Corneal Astigmatism after Cataract Surgery in Patients with Small Amount of Astigmatism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양희정(Hee Jung Yang) 박율리(Yu Li Park) 김현승(Hyun Seung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11, 1712~1719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국문 초록
목적: 각막 전면난시가 1.0D 미만인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 후 각막 후면난시 및 전체 난시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각막곡률이 가파른 축에 백내장 수술을 시행 받은 1.0D 미만의 각막 전면난시를 가진 환자 52안을 직난시를 보이는 33안(1군)과 도난시를 보이는 19안(2군)으로 분류하여 Pentacam으로 측정한 각막 전면, 후면, 전체 난시를 비교하였다.
결과: 직난시군에서 술 전 전면, 후면, 전체 난시는 0.55 ± 0.44D, 0.31 ± 0.14D, 0.30 ± 0.72D였으며 술 후 2개월 전면, 후면, 전체 난시는 0.51 ± 0.67D, 0.31 ± 0.15D, 0.35 ± 0.81D였다. 도난시군에서는 술 전 전면, 후면, 전체 난시는 -0.48 ± 0.46D, 0.26 ± 0.09D, -0.51 ± 0.65D였으며 술 후 2개월 전면, 후면, 전체 난시는 -0.17 ± 0.68D, 0.25 ± 0.13D, -0.30 ± 0.55D였다.
두 군에서 수술 전후 전면, 후면, 전체 난시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2개월 후 수술 후 유발난시량의 vector analysis 시행 시 직난시군의 경우 전면난시의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SIA)은 0.03D @ 30, 전체 난시의 SIA가 0.07D @ 74였으며 도난시군 의 경우 전면난시의 SIA는 0.27D @ 100, 전체 난시의 SIA가 0.36D @ 86로 측정되었다.
결론: 술 전 전체 각막난시가 1.0D 미만일 경우 후면난시가 수술 후 유발난시량의 예측 및 술 후 전체 난시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analyze the change in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and total corneal astigmatism in patients with anterior corneal astigmatism less than 1.0 diopter (D).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52 eyes with anterior corneal astigmatism less than 1.0 D.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steep axis: Group 1 included 33 eyes with within-the-rule (WTR) astigmatism and Group 2 included 19 eyes with against-the-rule (ATR) astigmatism. Anterior, posterior and total corneal astigmatism were measured using Scheimpflug imaging (Pentacam).
Results: In Group 1, preoperative anterior astigmatism, posterior astigmatism and total astigmatism were 0.55 ± 0.44 D, 0.31 ± 0.14 D and 0.30 ± 0.72 D, respectively. At postoperative 2 months, anterior astigmatism, posterior astigmatism and total astig-matism were 0.51 ± 0.67 D, 0.31 ± 0.15 D and 0.35 ± 0.81 D,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anterior, posterior and total corneal astigmatism in Group 1. In Group 2, preoperative an-terior astigmatism, posterior astigmatism and total astigmatism were -0.48 ± 0.46 D, 0.26 ± 0.09 D and -0.51 ± 0.65 D, respectively. At postoperative 2 months, anterior astigmatism, posterior astigmatism and total astigmatism were -0.17 ± 0.68 D, 0.25 ± 0.13 D and -0.30 ± 0.55 D,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anterior, posterior and total corneal astigmatism in the 2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pre-operative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and postoperative 2 months total corneal astigmatism. After vector analysis,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SIA) of the anterior and total astigmatism in Group 1 were 0.03 D @ 30° and 0.07 D @ 74°, respectively, and in Group 2 were 0.27 D @ 100° and 0.36 D @ 86°, respectively.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preoperative total corneal astigmatism less than 1.0 D,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had a small effect on postoperative total corneal astigmatism.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