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istence Way of Human being in the Pestalozzi’s book 『My Research』and Task for Multicultu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저자명
- 정기섭(Chung, Kis-eob)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9권 제4호, 129~14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페스탈로치의 인간이해와 그에 기초한 교육관을 이해할 수 있는 주요 저작인『인류의 발전에 있어서 자연의 과정 에 대한 탐구 Meine Nachforschungen über den Gang der Natur in der Entwicklung des Mensche ngeschlechts』(1797, 이하 『탐구』)에 나타난 인간의 존재방식에 대하여 살펴 보고, 그로부터 다문화 교육의 과제를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그를 위하여먼저 『 탐구 』에 나타난 인간 존재방식의 세 유형인 자연적 존재방식, 사회적 존재방식, 도덕적 존재 방식의 특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런 다음 인간의 존재방식과 교육의 관계를 살펴보고, 결론으로 다문화교육의 과제를 도덕적 존재방식에서 자신의 삶을 구성할 수 있는 인간 형성에 두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그 근거로 사회적 존재방식은 동물적 이기심이 유지되면서 동물적 야만과 도덕적 고상화의 사이에서 취하는 존재방식임으로 위선이고, 언제든지 동물적 상태로 추락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는 페스탈로치의 관점을 취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existence way of human being in the book 『My inquiries in to the course of nature in the development of human being』(1797) which enable d to comprehend human understand ing of Pestalozzi and his view of education, and suggested task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I tried to understand three types of existence way: natural, social and moral existence way. In a next place, I examined relation between the existence way of human being and education. As a result , I suggested that task s of multi cultural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Pestalozzi’s concept about mora l existence way. In a viewpoint of Pestalozzi, socal existence way is hypocritical because it is too k in somewhere bet ween savagery and morality an d is maintained by selfishness of animal. Also, this existence way can have a ris k to put human being into animal statu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인간 이해
Ⅲ. 인간 존재방식의 세 유형
Ⅳ. 인간의 존재 방식과 교육
Ⅴ. 다문화교육의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