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rson of Post 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Jisun You Yeong-jin Ch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10호, 273~28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1

국문 초록
최근 사회 곳곳에서 분노 조절 장애에 의한 살인, 보복운전, 방화 등 반사회적 범죄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노 조절 장애에 의한 방화범죄 사고사례의 분석을 통해 방화에 대한 문제점 및 대처방안에 대하여 조사했다. 방화범죄의 동기는 단순우발적(1,668건, 36.33%)이 제일 높고, 그 다음으로 가정불화(1,100건, 23.96%), 불만해소(739건, 16.10%), 정신이상(563건, 12.26%), 비관자살(521건, 11.35%)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방화 사례들은 공통적으로 분노 조절 장애에 의한 우발적인 방화범죄가 가장 큰 원인이였다. 이에 방화범죄 방화범죄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며, 방화범죄의 수사나 연구를 강화하고 일원화시키는 등 방화범죄의 대처방안을 통해 국민들의 안전을 보호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in the society, anti-social crime cases such as murder due to Post 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retaliatory driving and arson, etc, have occurred frequently. Therefore,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on arson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arson related crimes due to PTED. The motivation for arson offenses were shown in the order of accidental(36.33%), family discord(23.96%), relieving frustration(16.10%), Mental
disorder(12.26%) and pessimistic suicide(11.35%). Arson accidental cases were commonly the biggest reasons for accidental arson due to PTED. Therefore for arson offenses, professional and systematic treatment methods for PTED through cognitive approach should be developed, a systematic research on arson offenses should be studied by establishing the professional arson research institutions and unification of investigation for arson offenses and researches should be strengthened. So We have to protect the safety of the citizens through these preparation plans.
목차
Ⅰ. 서론
Ⅱ. 방화의 통계치 분석
Ⅲ. 분노 조절 장애에 의한 방화사건·사례 분석
Ⅳ. 대처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