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oward an Understanding of Academic Motivation:Addressing Conceptual Distinctions Between Ability Validation- and Normative Comparison-Performance Goals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정윤경(Chung, Yoonkyung)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57輯, 45~7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국문 초록
성취목표이론에서 수행접근목표의 본질을 둘러싼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최근 수행접근목표가 학습동기에 대해 적응 및 비적응의 이질적 연구결과를 보이는 주원인으로 수행접근목표의 이론 및 조작적 정의의 불일치가 지목되고 있다. 대부분의 성취목표 연구에서 자신의 능력을 남들에게 증명하려는데 주목적이 있는 능력증명 수행목표와 남들보다 잘하는 것에 초점을 둔 규준지향 수행목표가 서로 구분되지 않고 혼용되었기 때문에 수행접근목표에서 불일치한 결과가 야기되었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능력증명 수행목표와 규준지향 수행목표가 성취목표의 서로 다른 이론적 정의를 차용하고 있다고 보고, 성취목표의 발전방향을 바탕으로 각각의 개념 및 조작적 정의가 어떻게 다르게 구성되어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능력증명 및 규준지향 수행목표의 학습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기제의 차이를 자기가치와 연계하여 고찰한 후 인지, 정서, 행동, 그리고 학업성취 측면에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특징적인 동기양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능력증명과 규준지향의 의미를 구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수행목표의 본질을 대변하는 구인은 과연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에게 어떠한 성취목표를 고취시켜야 하는가에 대한 실질적인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achievement goal literature, the effects of performance goals have long been the unsettled issue in terms of whether they should be viewed as adaptive or maladaptive form in academic motivation. The recent research reports that the inconsistent effects of performance goals are partly derived from their conceptual divergences between ability validation and normative comparison as well as th eir intermixed usages in the achievement goal research. Therefore, I primarily ai m to identify how ability validation- and normative comparison-performance goals take the different conceptual definition throughout the achievement goal history. Based on this, I demonstrate that distinctive psychological mechanism takes place under the two different type s of performance goals in relation with their relative importance of self- worth and that they would function unevenly on students' cognition, affect,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distinction of ability validation from normative comparison within performance goals can address the nature of performance goals, and further give an insight in improving students' motivation within the achievement goal theory framework.
목차
Ⅰ. 서 론
Ⅱ. 수행목표의 개념 분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능력증명 수행목표와 규준지향 수행목표의 구분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