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성장시대, 재정정책 방향의 길을 묻다 :‘뉴노멀(New Normal)’시대의 재정 ‘트릴레마(Trilemma)’ 극복을 위한 새로운 재정정책 패러다임 모색
이용수 75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 저자명
- 염명배
- 간행물 정보
-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저성장시대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 재정현상에 주목하였다. 하나는 저성장 기조의 지속으로 말미암아 가용재원이 부족한 상태에서 우리 경제가 재정 ‘트릴레마(Trilemma)’에 봉착해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뉴노멀(New Normal)’로 표현되는 저성장시대에서 전통적 Keynesian 거시정책의 효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근래의 우리나라 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우리 만의 특이한 현상이며, 반드시 극복해야(즉, 고성장 유지) 하는 사안인가?”, “이 저성장 기조를 극복하기 위해서 과연 전통적 (Keynes식) 거시 재정정책이 효과적인가?”, “만약 전통적 거시정책의 효과성이 떨어진다면 어떠한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하는 세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노력하였다. 박근혜정부 3년간 95조원의 적자국채흫 발행해서 지출을 늘린 결과 총 15조원(매년 0.3% 포인트)의 추가 성장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현 정부의 재정확대 정책은 원가보 상율(보상수익률)이 15%에 불과한 매우 저조한 사업성과로 평가된다. 가용재원(세수)이 부족하고 Keynes식 재정정책의 효과가 의심되는 최근 저성장시대에서 ‘재정확대’ 정책보다는 ‘재정 내실화’ 정책을 구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논거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총량적·거시적 재정정책에서부터 선별적·표적집중적인 ‘미시적 재정정책’으로 재정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함과 동시에 세출·조세·재정전달 부문에서 ‘삼위일체 재정개혁’을 단행할 것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I. 머리말
II. 저성장시대의 재정 트릴레마
III. 저성장 기조에 대한 관점의 재정립
IV. 전통적 (케인스식) 재정정책의 한계 인식
V. 새로운 재정정책 패러다임 모색
VI.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