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眞柳 誠(마야나기 마코토)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 4호, 195~20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30

국문 초록
「素問」은 다수의 版本이 존재하는데, 字句의 차이가 현저하여 條文의 訓詁나 이해에 곤란한 면이 있 다. 版本 상호간의 관계가 지금까지 해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成書 이래의 전승과정을 정리하고, 版本으로 만들어진 北宋 이래의 변화를 여러 現存 版本의 字句對校 및 史書·目錄의 記載를 통 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亡佚된 宋版을 포함하여 古本 13種의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그 상호관계를 素 問本篇 古本系統圖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 결과에 의하여 다음 사항들이 밝혀졌다. ① 素問의 字句는 기본적으로 北宋 1069年의 熙寧本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없다. ② 熙寧本(亡佚)의 舊態를 유일하게 보존하고 있는 것은 1550年에 跋刊된 明나라 顧從德本이다. 顧本을 연구의 第一底本으로 삼아야 함은 향 후에도 변치 않을 것이다. ③ 元나라 1283年의 讀書堂本은 北宋 1078-85年의 元豊本(亡佚) 계통이다. 日本의 室町古鈔本은 北宋 1121年의 宣和本(亡佚) 계통이다. ④ 따라서 北宋版 3種의 옛 모습을 보유한 顧從德本, 讀書堂本, 古鈔本의 經注文을 對校한다면 熙寧本 혹은 그 底本에 한층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⑤ 熙寧本 이전의 양상을 이해하려면「太素」나「甲乙經」등과 校異하는 것이 좋겠으나 한계도 있다. ⑥ 上記한 것 외에 현존하는 諸版은 모두 派生本이다. 따라서 版本 연구에는 유용하겠지만 字句의 訓詁나 條文의 이해에는 적당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목차
1. 序 論
2. 宋代까지의 傳承
3. 版本系統
4. 北宋版
5. 南宋版
6. ⑧金版
7. 元版
8. 明版
9. 總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