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창의력교육학회
- 저자명
- 이명숙 최병연
- 간행물 정보
- 『창의력교육연구』제15권 제3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의 창의성 교육 지각 척도(Teachers' Perceptions of Creativity in Education: TPCE)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교사들이 지각하는 창의성 교육의 요인을 추출하여 4개의 하위 요인, 즉 창의성 교육 관점, 창의성 교육 방해, 창의성 교육 촉진, 창의성 교육 수행으로 구성된 총 25문항을 구축하였다. 이 척도를 초등학교 교사 3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20문항을 추출하였다. 최종 척도에 대해 문항내적 일치도 Cronbach α, 탐색적 요인분석,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구조 모형의 적합도 분석을 통해 타당화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 창의성교육 지각 척도 20문항 전체 신뢰도 Cronbach α는 .859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의 Cronbach α는 .775에서 .919의 범위를 보였다. 그리고 요인분석의 결과 4개 하위요인의 총설명변량은 56.217%로 나타났다. 20문항으로 구성된 모형의 적합도 CFI, TLI는 .90 이상,RMSEA는 .08 이하, 그리고 X2/(df)는 3이하로 나타나 수용 가능한 기준치를 충족시켜 구조적으로 적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validate the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s of Creativity in Education(TPCE). Subjects are 306 elementary teachers from D and J city in Korea. TPCE formulated 4 sub-factors(perspectives, hinderance, enhancement, performance in creativity education)consisting with 20 items. The Cronbach α coefficient ranged .790 - .919.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model fit indexes of TLI, CFI, RMSEA, and χ² value were satisfied with the criteria for factor structure model fit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예비 척도의 개발 및 요인분석
Ⅲ. 척도의 타당화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