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장온정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7집 3호, 67~10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혼자 살아가는 중년남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자본 형성 경험의 맥락과 과정을 살펴보고, 사회자본 경험을 유형화함으로써 중년남성 1인가구주들의 사회자본형성과정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혼자살고 있는 중년남성 1인가구주 14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연구방법 중 근거이론 접근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미단위를 분석하고 범주화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112개의 개념과 27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중심주제는 자기방어와 단절 속에서 깨어 나와 관계 맺기 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사회자본 형성 과정은 4단계로 ‘왜곡된 인식’단계, ‘고립과 단절’단계, ‘소극적 대처’단계, ‘버팀과 새로운 모색’단계이다. 중년남성 1인가구주의 사회자본 형성 유형은 ‘자기 내적 교류형’ ‘제한적 교류형’, ‘결속 교류형’의 3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proces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through middle-aged single man householders experie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grounded theory approach of Reason Based Theory to analyze the main theme by depth interview for 14 middle-aged single man householder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112 concepts, 27 sub-categories and 13 main categories were showed by opening coding process. In Selective coding the category Breaking their Self-defense & rupture and make relationship was found out as a core. On the basis of the core category, Participants’ social capital formation process involves 4 stages; ‘Twisted Perception’ stage, ‘Rupture & Isolation’ stage, ‘Passive Management’ stage, ‘Enduring &
Seeking New’ stage. There are 3 type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process in Middle-aged Single man Householders; ‘Inner Self Exchange’ type, ‘Restricted Exchange’ type, ‘Unity Exchange’ typ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