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ressive Prosody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Meta-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신희백(Hee Baek Shin) 최지은(Ji eun Choi) 김기숙(Ki sook Kim) 이윤경(Yoon Kyoung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3, 424~434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비전형적인 운율 표현 특성은 많은 연구들을 통해 보고되어 왔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현재까지 이루어진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의 운율 특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운율 표현에서 일반 집단과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주제어를 통해 국외 관련문헌을 검토한 후 연구의 포함과 제외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15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분석 자료에 대한 효과크기는 무선효과모델(random effect model)에 기반하여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운율 표현 종속측정치(음도, 강도, 말속도, 억양 곡선), 언어 수준(단어, 문장, 단락)과 언어 샘플 수집 방법(모방, 이름대기, 읽기, 자발화)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은 일반 집단과 운율 표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운율 표현 종속측정치 중 음도, 강도 말속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운율 표현 차이가 있었으며, 음도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언어 수준에서도 집단 간 유의한 운율 표현 차이가 있었으며, 단어, 문장, 단락의 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언어 샘플 수집 방법에서는 읽기와 자발화 과제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운율 표현의 차이를 보였으며, 자발화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이 일반 집단과 운율 표현에서 차이가 있으며, 운율 표현은 종속측정치와 언어 수준, 언어 샘플 수집 방법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typical prosodic expression in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groups has been reported frequently. This study aimed to synthesiz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prosody in ASD groups.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using a meta-analysis method (Comprehensive Meta-Analysis II [CMA2], 2005). Fifteen studies meeting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ntered into the analysis. The effect size was computed using a random effect model.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Prosodic expres-sion of ASD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ypically developing (TD) group.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itch, loudness, and speech rate; the effect size of pitch was the largest one among the three measurements. The prosodic expression of ASD group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anguage units and sampling methods used for analysis. Paragraphs (among the language units) and spontaneous utterance (among the sampling methods) revealed the largest effect size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SD's and TD's prosodic features. The results should provide an evidence-based rational for prosodic intervention with ASD groups.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