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nstructional schema of '[N+V+-(eu)m/i/ki]' words
- 발행기관
- 형태론
- 저자명
- 김혜지(Kim Hye ji 金惠智)
- 간행물 정보
- 『형태론』형태론 16권 2호, 185~20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국문 초록
괄호매김역설의 문제를 보이는 국어의 '[N+V+-(으)ㅁ/이/기]'형 단어는 오랜 시간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다. 본고는 이러한 국어의 '[N+V+-(으)ㅁ/이/기]'형 단어에 대하여 구성적 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적 틀을 제시하기 위하여 '[N+V+-(으)ㅁ/이/기]'형 단어가 가지는 여러 가지 의미 유형을 확인하고, 이러한 의미 유형에 따라 '[N+V+-(으)ㅁ/이/기]'형 단어들이 서로 위계를 이루며 어휘부 속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구성적 틀 개념의 도입을 통하여 기존의 논의들에서 제시했던 괄호매김역설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영문 초록
'[N+V+-(eu)m/i/ki]' words which are related to bracketing paradox has long been a subject of debat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onstructional schema to the phenomenon by confirming various semantic types '[N+V+-(eu)m/i/ki]' type words typically assume and the fact that '[N+V+-(eu)m/i/ki]' words are in fact hierarchically structured in lexicon according to the semantic types. As a result, this paper suggests the bracketing paradox which has been raised in many previous studies is solved by introducing the constructional schema.
목차
요약
1. 서론
2. 기존 논의와 구성적 틀
3. '[N+V+-(으)ㅁ/이/기]'형 단어의 의미
4. '[N+V+-(으)ㅁ/이/기]'형 단어의 구성적 틀
5. 결론
참고논저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