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목적: 라섹 수술 후 3% 디쿠아포솔나트륨 점안액을 사용한 뒤 임상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무작위 전향적 임상연구로서, 라섹 수술을 받은 49명 97안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시험군은 3% 디쿠아포솔나트륨 점안액과 인공누액을 수술 후 3개월간 사용하였고, 대조군은 인공누액만 사용하였다. 수술 전 및 수술 후 2주, 1, 2, 3, 4달에 각막염색점수, 눈물막 파괴시간, 쉬르머 검사,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를 조사하여 안구건조증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두 군 간의 시력, 구면대응치, 각막혼탁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막염색 점수는 수술 후 2주에 시험군에서 낮았고(p<0.01), 대조군에서 수술 전보다 각막염색 점수가 높은 것과 비교해(수술 후 2주, p<0.01) 시험군에서는 수술 전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수술 후 3, 4개월, p<0.05). 눈물막파괴시간은 수술 후 2주부터 4개월까지 시험군에서 길었으며(p<0.01), 수술 전에 비해 대조군에서는 감소된 반면(수술 후 2주-2개월, p<0.05) 시험군에서는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수술 후 1-4개월, p<0.05). OSDI는 수술 후 1개월부터 4개월까지 시험군에서 높았다(p<0.01).
결론: 라섹 수술 후 생기는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증상과 임상 소견은 수술 후 1개월까지 가장 심했다. 술 후 3개월간 3% 디쿠아포솔나트륨 점안액의 사용은 이러한 안구건조증의 증상과 임상 소견을 개선시켜 주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수술 후 4개월까지 지속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topical diquafosol tetrasodium (DQS) after laser epithelial keratomileusis(LASEK).
Methods: This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included 97 eyes of 49 patients who were scheduled for LASEK. Patients in the DQS group used both 0.3% sodium hyaluronate and 3% DQS for 3 months after surgery while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used only 0.3% sodium hyaluronate. Corneal staining score, tear film break-up time (TF-BUT), Schirmer test and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were evaluated before surgery and 2, 4, 8, 12 and 16 weeks after surgery.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acuity, spherical equivalent and corneal haziness between the 2 groups after surgery. Corneal staining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QS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2 weeks after LASEK (p <0.01) and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after LASEK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value (2 weeks after LASEK, p < 0.01), but decreased in the DQS group (12 and 16 weeks after LASEK, p < 0.05). TF-BU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QS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2 to 16 weeks after LASEK (p < 0.01) and increased values were observed in the DQS group after LASEK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value (4 to 16 weeks after LASEK, p < 0.05). The mean OSDI was significantly higher 4 to 16 weeks after LASEK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DQS group (p < 0.01).
Conclusions: Subjective dry eye symptoms and objective markers were worse for 4 weeks after LASEK. The use of 3% DQS for 12 weeks after surgery improved these symptoms and markers with the effect lasting 16 weeks after LASEK.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