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목적: 전신마취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안과적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테이프를 붙여 눈을 감기는 방법과 서로 다른 성분의 연고를 점안한 후 테이프를 붙이는 방법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60분 이상의 전신마취 수술을 받은 148명 296안을 테이프만 붙여 눈을 감긴 군(A군)과 솔코세릴(B군), 카보머(C군), 또는라놀린(D군) 성분의 연고를 점안한 후 테이프로 눈을 감긴 군 총 4군으로 무작위 배정 후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쉬르머검사,눈물막 파괴시간, 결막충혈지수, 각막표면형광염색, 안구표면질환지수를 수술 전후 측정하여 같은 군 내에서의 변화와 서로 다른 군사이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눈물막 파괴시간은 카보머 성분의 연고를 사용한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35), 결막충혈지수는 연고를 사용한 3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는데(p<0.05) 이 중 솔코세릴과 카보머 성분의 연고를 사용한 군의 감소폭이 다른 군에 비해 컸다(p<0.001).수술 후 새롭게 발생한 각막 찰과상은 없었으나 수술 전 없던 각막미란이 새로 발생한 경우는 A군 8안(12.5%), B군 0안(0%), C군 2안(2.5%), D군 10안(13.9%)으로 B, C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p=0.035).
결론: 테이핑만 하는 방법이나 연고를 점안 후 테이핑을 하는 방법 모두 효과적으로 전신마취 중 발생할 수 있는 각막 찰과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연고의 점안은 주관적인 증상의 개선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안구표면지표의 호전을 보이는 추가적인 효과가 있어 전신마취 중 안구 보호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efficacy of 3 different eye ointment instillations with eyelid taping and eyelid taping alone to prevent eye complications during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Methods: A total of 296 eyes of 148 patients who underwent general anesthesia for at least 60 minutes were randomly assigned to 1 of the following 4 groups: group A, eyelid taping alone; group B, eyelid taping with solcoseryl ointment; group C, eyelid taping with carbomer ointment; group D, eyelid taping with lanolin ointment. Schirmer test, tear film break-up time (TF-BUT), conjunctival hyperemia scale (CHS), National Eye Institute corneal staining scale (NSS), and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were prospectively evaluated before and after general anesthesia.
Results: TF-BU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B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value (p = 0.035). CH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3 ointment groups (p < 0.05) after general anesthesia and the degre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B and C (p < 0.001). No corneal abrasion developed after general anesthesia. However, corneal erosion developed in 20 eyes of previously healthy subjects; 8 eyes (12.5%) in group A, 0 eye (0%) in group B, 2 eyes (2.5%) in group C, and 10 eyes (13.9%) in group D. The occurrence rates of new les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s B and C (p = 0.035).
Conclusions: Both eyelid taping alone and eyelid taping with eye ointment are effective protection methods against corneal abrasion during opera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Eye ointment instillation together with eyelid taping shows not only improvement of subjective symptoms but also improvement of objective ocular surface parameters proving to be an effective ocular protection during general anesthesia.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