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목적: 눈물샘에 발생한 다형성 샘암종(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의 1예를 경험하고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63세 여자 환자가 1년 전부터 시작된 우안 안구 돌출과 안검하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수술 전 검사한 전산화단층촬영에서다형성 샘종으로 의심되는 32×20×21 mm 크기의 경계가 명확한 종괴가 보여 앞가측 안와절개를 통하여 완전 적출술을 시행하였다.육안상 종괴는 울퉁불퉁한 모양으로 피막은 매끈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보였다. 종괴를 잘랐을 때 단면에서는 흰색과 옅은 노란색을띈 단단한 부분과 더 어두운 색의 점액질 성상이 섞여 있는 부분이 동시에 존재하였고, 병리조직검사상 점액질 성상이 섞여 있는부분에서 악성 세포가 관찰되어 다형성 샘암종으로 진단되었다.
결론: 본 증례에서는 일차 수술에서 이미 악성 변화가 진행된 다형성 샘종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오래된 양성 다형성 샘종에서 종괴의크기가 커지면서 미세한 파열이 일어나 악성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수술 전 영상 검사에서 양성 종양으로 의심되었으나, 임상적으로 종괴의 성장속도가 빠르거나 종괴의 크기가 커지면서 안구돌출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악성 종양의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이 좋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 observed during the patient’s first operation.
Case summary: A 63-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proptosis and ptosis that was aggravated 1 year prior. On preoperative CT image, a 32 x 20 x 21 mm-sized well demarcated mass (suspected as pleomorphic adenoma) was observed and was removed entirely by anterolateral orbitotomy. The excised mass surface was uneven but the capsule appeared intact on gross examination. Hard, yellow-colored and soft, dark-colored materials were found concurrently on cross section.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showed malignant cells as part of the soft material and was diagnosed as 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
Conclusions: We report a case of 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 of the lacrimal gland that presented with malignant change during the patient’s first operation. Supposedly, during the process of mass growth, minimal rupture occurred causing malignant transformation. Clinically, although a mass is believed benign based on imaging, the possibility of malignant transformation of a tumor increasing rapidly or enlargement causing development of rapid proptosis should be consider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