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목적: 인공수정체 공막 봉합고정술 후 전방 깊이, 인공수정체의 기울어짐과 중심이탈에 따른 굴절력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인공수정체 공막 봉합고정술을 시행한 17안 중 6안은 무수정체안, 5안은 인공수정체 탈구, 6안은 수정체 탈구 상태였다.
12안에는 아크릴레이트 재질(MN60ACⓇ), 5안에는 PMMA 재질(CZ70BDⓇ)의 인공수정체를 모두 각막 윤부로부터 1.0 mm 뒤쪽 공막에봉합고정하였다. 그리고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이들의 수술 후 2주, 1개월, 2개월째 전방 깊이, 인공수정체의 기울어짐과 중심이탈, 현성 굴절력, 굴절오차 그리고 각막 내피세포 검사를 확인하였다.
결과: 수술 후 2주, 1개월, 2개월째 전방 깊이는 3.36 ± 0.11 mm, 3.30 ± 0.12 mm, 3.27 ± 0.13 mm로 낭내삽입술군에 비해 유의하게 더 얕았다. 인공수정체의 기울어짐은 4.61 ± 0.12o, 4.65 ± 0.14o, 4.60 ± 0.12o, 중심이탈은 0.43 ± 0.01 mm, 0.45 ± 0.01 mm, 0.45± 0.01 mm로 낭내삽입술군에 비해 유의하게 더 컸다. 굴절오차는 ‐0.55 ± 0.27D, ‐0.63 ± 0.24D, ‐0.69 ± 0.19D로 낭내삽입술군에 비해 유의하게 더 근시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는 각막 윤부로부터 1.0 mm 뒤쪽에 인공수정체 공막 봉합고정 시 예측보다 약 0.75D 원시를 목표로 도수를 선택하면 원하는 목표 굴절력에 근접할 수 있다. 하지만 수술 후 굴절력은 절개창, 고정 위치, 봉합사 장력 등 술자 요인에도 영향을받으므로 수술 시 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anterior chamber depth (ACD), extent of intraocular lens (IOL) tilt, and decentration and refractive error after transscleral fixation of IOL.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7 cases with transscleral fixation of IOL (6 with aphakia, 5 with IOL dislocation, and 6 with lens subluxation). The acrylic IOL (MN60AC??) was fixated in 12 eyes and the polymethylmethacrylate IOL (CZ70BD??) was fixated in 5 eyes at 1.0 mm posterior from the limbus. We analyzed the ACD, extent of IOL tilt and decentration,manifest refraction, refractive error, higher order aberration, and corneal endothelium at 2 weeks, 1 month and 2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The mean ACD was 3.36 ± 0.11 mm, 3.30 ± 0.12 mm, and 3.27 ± 0.13 mm, the mean extent of IOL tilt was 4.61 ± 0.12°,4.65 ± 0.14°, and 4.60 ± 0.12° and the mean extent of IOL decentration was 0.43 ± 0.01 mm, 0.45 ± 0.01 mm, and 0.45 ± 0.01mm at 2 weeks, 1 month and 2 months postoperatively, respectively in eyes with transscleral fixation of IOL. The ACD was shallower and the extent of IOL tilt and decentration was greater than with IOL in-the-bag insertion patients. The mean refractive errors were -0.55 ± 0.27 D, -0.63 ± 0.24 D, and -0.69 ± 0.19 D at the same period, respectively.
Conclusions: Although postoperative refractive error is influenced by surgeon factors such as incision size, distance of fixation suture from limbus, and tightness of suture material, according to our results, an IOL 0.75 D more hyperopic than predicted should be selected in transscleral fixation of IOL at 1.0 mm posterior from the limbus. Additionally, each surgeon should assess their specific results and modify the lens calculations accordingl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