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목적: 안구의 전체 수차가 아닌 수정체의 변화에 의해 주로 나타나는 안내 수차를 이용하여 백내장 종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 수술을 받고자 내원한 환자 70명 80안을 대상으로 수술 전 검사로 KR-1W 수차계를 이용하여 안내 수차를 측정한 환자에서 백내장 종류(피질백내장, 핵백내장, 후낭하백내장)에 따라 동공 지름 6 mm 범위에서의 안내 수차의 값과 그 수치의 절대값을 독립표본 비모수 검정을 통해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전체 80안 중 피질백내장 30안, 핵백내장 30안, 후낭하백내장 20안이었고, 동공 지름 6 mm 범위에서 안내 구면수차의 고유값평균은 피질백내장 0.042 μm, 핵백내장 -0.092 μm, 후낭하백내장 -0.109 μ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절대값으로 비교했을 때는 피질백내장 0.122 μm, 핵백내장 0.533 μm, 후낭하백내장 0.202 μm로 핵백내장이 다른 두 백내장에 비해 유의하게 더 컸다(p=0.003, Kruskal-Wallis test). 또한 백내장 그룹별로 안내 구면수차의 분포를 보았을 때 높은 양의 값 또는 음의 값을갖는 경우는 대부분 핵백내장이었다. 그 외에 안내 난시나 코마 등 다른 고위수차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백내장의 종류에 따라 안내 구면수차 값을 비교한 결과 핵백내장의 경우 피질백내장이나 후낭하백내장에 비해 안내 구면수차값의 변화가 컸고, 높은 양의 값이나 높은 음의 값을 갖는 경우가 많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patterns of internal optical aberrations in eyes with different types of cataract.
Methods: Eighty eyes of 70 cataract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Internal optical aberrations were measured with a KR-1W wavefront aberrometer before cataract operation. Types of cataract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cortical, nuclear and posterior subcapsular cataracts.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e wavefront data of 6-mm pupil diameter zones were compared among three groups. The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for comparing data.
Results: A total of 80 eyes consisting of 30 cortical cataracts, 30 nuclear cataracts and 20 posterior subcapsular cataracts were found. In the 6-mm pupil diameter zone, the average internal spherical aberrations by original value were 0.042 μm of cortical cataracts, -0.092 μm of nuclear cataracts and -0.109 μm of posterior subcapsular cataracts. The average internal spherical aberrations by absolute value were 0.122 μm of cortical cataracts, 0.533 μm of nuclear cataracts and 0.202 μm of posterior subcapsular cataracts. The internal spherical aberrations by original valu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ut by absolute valu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03, Kruskal-Wallis test). Nuclear cataracts have a much higher positive or negative value than other cataract groups in the distribution of internal spherical aberrations by original value for each type of cataract. Other than this difference, the internal astigmatism and internal high order aberration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s: The change in internal spherical aberrations of nuclear cataract from the original value was larger than cortical and posterior subcapsular cataract. Therefore, nuclear cataracts have much higher positive or negative values than other cataract group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