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목적: 가림치료 중 우세안에 발생한 가림원인약시의 경우 대부분 가림을 중지하면 시력이 회복된다고 알려졌으나, 반대눈의 가림치료에도 시력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고 이후 사시가 발생하였던 예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좌안의 선천백내장으로 생후 3개월째에 수술한 여자 환자에서 수술 후 약시 치료로 우안에 6:1 가림치료를 하면서 경과관찰중 생후 32개월 때에 처음 측정한 최대교정시력이 우안은 안전수지 1.70 m, 좌안이 0.52로 가림원인약시를 의심하고 우안의 가림치료를 중단한 후 소아안과 외래에 의뢰되었다. 이때 우안은 중심외주시가 있었고 안구운동검사에서 약간의 외사시 소견을 보였다. 우안의 가림치료를 중단한 채 기다려보기로 하였지만 약시안의 시력은 호전되지 않았다. 만 3세 때부터는 좌안의 가림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우안의 시력은 쉽게 회복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중심외주시 양상을 보였다. 가림치료를 계속하는 도중 만 5세경에 중심외주시는좋아졌고 만 6세경 좌안의 이차인공수정체삽입술을 시행하였다. 경과관찰 중 만 9세경 32 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s, PD)의 외편위와 8 PD의 해리수직편위에 대해 우안 외직근후전 및 내직근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단안 선천백내장은 수술 후 매우 적극적으로 가림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그러나 그 결과로 가림원인약시가 생겨서 치료해도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시력 측정이 안 되는 어린 나이에서는 주시형태 변화 등으로 우세안의 시력저하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우세안 가림의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가림원인약시의 예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treatment for reverse amblyopia is to discontinue occlusion therapy with most cases showing improvement of visual acuity in the dominant eye. Herein, we report a case of reverse amblyopia after monocular cataract surgery which was refractory to treatment and showed strabismus.
Case summary: A 3-month-old female was diagnosed with congenital cataract in her left eye and underwent aspiration of lenses,posterior capsulectomy, and anterior vitrectomy. After the surgery, her mother performed strict 6:1 occlusion therapy on her right eye as prescribed.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measured for the first time at the age of 32 months was 1.70 in the right eye and 0.52 in the left eye and the patient was referred to the Pediatric Ophthalmology clinic. At that time, eccentric fixation with slight exotropia was observed. With the diagnosis of reverse amblyopia in the right eye, the occlusion therapy was postponed for several months, however, visual acuity in the right eye did not recover after 4 months. After the age of 3 years, she was treated with left eye occlusion therapy, but the vision was still low and eccentric fixation was observed. At the age of 5 years she was continuously treated with left eye occlusion and the eccentric fixation improved, and at 6 years of age, a secondary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was performed. At 9 years of age, the patient underwent lateral rectus recession and medial rectus resection in the right eye for the treatment of exotropia.
Conclusions: In the case of monocular congenital cataract, occlusion therapy should be prescribed after surgical treatment.However, because reverse amblyopia which is refractory to treatment can occur, the fixation pattern should be monitored carefullyand the occlusion duration controlled appropriatel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