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목적: 약시에 대한 매일과 격일 가림치료의 효과가 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방법을 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초진 후 두 눈 시력이 2줄 이상 차이 나는 경우, 조절마비굴절검사 결과에 따라 안경을 처방하였다. 4개월 후 최대교정시력 기준으로 약시로 확진된 45명 환아를 무작위로 매일과 격일 가림치료군으로 나누었다. 매일 가림치료군 24명은 매일, 격일 가림치료군 21명은 격일로 나쁜 눈의 시력에 따라 2-6시간 동안 좋은 눈을 가리도록 하였고, 달력에 가린 날을 표시하도록 하였다. 치료후 1, 3, 6, 9개월째 시력 및 치료 순응도를 조사하였고, 두 눈 시력이 한 줄 이하로 차이 나는 경우를 치료 성공으로 정의해 최종성공률을 분석하였다.
결과: 치료 시작 시 매일과 격일 가림치료군 간에 나이, 약시안 최대교정시력, 약시 원인, 그리고 총 치료기간은 유의한 차이 없었다.두 군 모두 치료 후 1개월부터 치료 시작 시에 비해 시력이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최종 내원 시 두 군 간 시력이 호전된 줄 수(3.8줄:3.7줄, p=0.754), 성공률(50.0%:81.0%, p=0.060) 및 순응도(94.5%:96.3%, p=0.803)에 유의한 차이 없었으나, 최종 약시안 시력은 격일가림군에서 유의하게 좋았다(0.2 logMAR:0.1 logMAR, p=0.042).
결론: 약시의 가림치료 방법으로 매일과 격일 가림 간에 최종 시력은 격일 가림치료군이 좋았고, 치료의 순응도, 시력이 호전된 줄수 및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 없었다. 따라서, 약시에 대한 가림치료의 한 방법으로 격일 가림을 고려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Purpose: We compared the results of daily patching and alternate-day patching to treat amblyopia.
Methods: Patients with difference in the visual acuity (VA) between the eyes of at least two lines were prescribed spectacl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cycloplegic refraction. After 4 months, 45 patients with confirmed amblyopia were randomly assigned to daily patching or alternate-day patching group. Patients were patched daily in the daily patching group (n = 24), and patched every other day in another group. The patching time was 2-6 hours according to the VA of the amblyopic eye. The parents were asked to mark on a calendar whether their child performed occlusion or not. The main outcome measure was the mean VA of amblyopic eye and compliance of occlusion after 1, 3, 6 and 9 months. The success of treatment was defined if difference of VA between the eyes was less than or equal to 1 lin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age, type of amblyopia, VA of the amblyopic eye and total treatment duration. VA of the amblyopic eye was significantly improved at 1 month after occlusion in both groups. At the final visit in both groups, the number of improved VA lines in the amblyopic eye (3.8 lines:3.7 lines, p = 0.754), the final success rate(50.0%:81.0%, p = 0.060) and the compliance of occlusion (94.5%:96.3%, p = 0.803)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ut VA of the amblyopic eye (0.2 log MAR:0.1 log MAR, p = 0.042) was better in the alternate-day patching group than that in another group.
Conclusio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mproved VA lines in the amblyopic eye, nor were there differences in success rate and compliance of occlus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final VA was better in the alternate-day patching group than another group. Therefore, the alternate-day patching method is another possible option for the treatment of amblyopia.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