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목적: 안와골절 환자에서 시신경 유두 중심과 망막중심 오목의 위치관계를 이용하여 안구회선 정도를 측정하여 안와골절 정복술 전후의 안구회선 정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수술 전후 복시와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안와골절로 진단받고 본원에서 안와골절 정복술을 받은 환자군 36명과 나이대를 맞춘 대조군을 36명을 설정하였다.모든 대상자는 안저사진을 이용하여 시신경 유두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과 시신경유두중심과 망막중심오목을 지나는 가상의선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여 안구회선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안와골절 환자군에서 수술 후 복시가 호전된 군과, 수술 전 복시가 없거나 수술 후 복시가 호전되지 않는 군과의 안구회선 정도를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안와골절 환자군에서 수술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수술 후 복시가 호전된 군의 수술 전 안구회선 정도는 7.74 ± 3.48도였으며, 수술 후 안구회선 정도는 5.02 ± 3.11도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수술 전 복시가 없거나 수술 후 지속된 군의 수술 전 안구회선 정도는 6.36 ± 2.80도였으며, 수술 후 안구회선 정도는 6.51 ± 3.24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638).
결론: 안와골절 정복술로 인한 복시의 호전여부는 안구회선 정도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안와골절 정복술로 인한안구회선 정도의 감소와 회선사시의 연관성에 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Purpose: We compared ocular torsion rates in blow-out fracture patients before and after blowout fracture repair by analyzingmean disc foveal angle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low-out fracutre repair patients (n = 36) and controls (n = 36). We measured ocular torsion rates by analyzing mean disc foveal angle. The angle was composed of 2 imaginary horizontal lines which crossed the optic disc center and fovea. We compared statistically ocular torsion rates in blow-out fracture patients based on subsided diplopia, continued diplopia, or absence of diplopia before and after blow-out fracture repair using paired t-test.
Results: In the patient group, ocular torsion ra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blow-out fracture repair group with subsided diplopia, ocular torsion rates were decreased statistically from 7.74 ± 3.48 degrees before blow-out fracture repair to 5.02 ± 3.11 degrees after blow-out fracture repair. In the blow-out fracture repair group with continued diplopia or absence of diplopia before surgery, ocular torsion rates did not chang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6.36 ± 2.80 degrees before blow-out fracture repair to 6.51 ± 3.24 degrees after blow-out fracture repair.
Conclusions: Subsided diplopia after blow-out fracture repair and ocular torsion rate chang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in blow-out fracture patients. Further research which on the correlation of intraorbital change and movement of orbital position after blow-out fracture repair with ocular torsion rates are necessar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