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valence and Affecting Factors of Depression in Men Aged 60 and over in Urban Community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혜령(Hye R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7호, 181~19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7.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 지역 남성노인의 우울 유병률과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일 지역 16개 구의 사회복지관 등록된 60세 이상 남성노인 329명이다. 본 연구 대상자의 우울 측정을 위하며 한국어판 단축형 노인우울척도를 이용했고 8점을 절단점으로 하여 판정한 우울 유병률은 28.9%이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국민기초생활수급 대상인 남성, 수면상태가 나쁜 남성, 중등도 신체활동을 주 5회 적어도 주 1회당 30분 이상 실천하지 않는 남성, 진단받은 질환이 2개 이상인 남성이 우울의 고위험인구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의 60세 이상 남성 가운데 우울 위험인구를 발견하고 집중관리 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men elders in Korean communities. The sample included 329 who were 60 years of age or over in one urban community.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of the study sample was 28.9%.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revalence of depression in men elders was associated with basic livelihood recipient, with poor sleep status, with not being able to perform physical activity with a little shortness of breath in intensity, bouts of at least 30 minutes in duration, and 5 days or more per week in frequency, and 2 or more of diagnosed disease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promote screening strategy and prevention of depression for men elders in Korea.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