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Volatility and Spillover Effect of Housing Sales, Chonsei, and Monthly Rent Market Using GARCH, EGARCH Model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전해정(Haejung Chun)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62輯, 218~232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택 매매, 전세, 월세가격의 변동성과 이전효과를 공간적 범위는 서울, 경기, 인천으로 시간적 범위는 2003년 6월부터 2014년 11월까지의 월별 자료로 GARCH, EGARCH 모형을 이용해 실증분석하였다. 주택매매, 전세가격모형에서는 비대칭성의 EGARCH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주택월세가격모형에서는 대칭성의 GARCH 모형이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가격과 월세가격의 변동성의 영향력이 지속되는 것으로 보아 전세가격과 월세가격의 상승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변동성의 이전효과를 분석결과, 경기도의 주택매매가격 변동성은 전월 변동성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서울의 전기 변동성에 대한 영향을 동시에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 주택매매가격이 1% 상승하면 경기도는 0.3%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인천의 주택전세가격 변동성은 서울의 전기 변동성에 대한 영향을 받았으며 서울 주택전세가격이 1% 상승하면 경기도의 전세가격은 0.52%, 인천은 0.41%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치 못한 주택매매, 전세가격 상승충격이 동일한 주택매매, 전세가격 하락충격보다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olatility and spillover effect of the housing market.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n the volatility and spillover effect of sales, Chonsei, and monthly rent market using GARCH, EGARCH Model by setting Seoul, Gyeonggi-do, and Inchon as the spatial range and June 2003 to November 2014 for the monthly data.
(3) RESEARCH FINDINGS
It was Asymmetrical EGARCH Model was identified to be appropriate in housing sales and Chonsei models, and symmetrical GARCH Model was identified to be appropriate for monthly rent pricing model. Considering that the influence of volatility of Chonsei and monthly rent price persist, a rise in Chonsei and monthly rent price is considered to continue for a while. As a result of the spillover effect of volatility, the volatility of housing sales price of Gyeonggi-do was affected by volatility of the last month and was affected by volatility of the last month in Seoul at the same time, and when housing sales price in Seoul increased by 1%, 0.3% increased in Gyeonggi-do. Volatility of Chonsei price of Gyeonggi-do and Inchon was influenced by the former
volatility of Seoul, and when Chonsei price in Seoul increased by 1%, Chonsei price in Gyeonggi-do increased by 0.52% and 0.41% in Inchon.
2. RESULTS
Unexpected increase impact of sales and Chonsei price showed greater volatility than the decline impact of the same sales and monthly rent pric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모형
1. GARCH 모형
2. EGARCH 모형
Ⅳ. 실증분석
1. 자료설명
2. 단위근 검정
3. 모형 추정결과
4. 주택가격 변동성 이전효과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