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conomic Impact of Happyhouse Construction in the National Economy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최차순(Choi, Cha Soon)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62輯, 204~217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주택사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행복주택사업의 역할과 위상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3년 한국은행에서 발행된 2011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행복주택사업이 고용, 생산, 수입 및 전․후방효과를 I-O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행복주택사업이 전 산업 부문에 미치는 생산유발계수는 1.67이며, 생산유발효과는 4조 527억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유발효과는 1,522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조 7,667억 원이며,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73, 고용유발효과는 28,95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2.행복주택의 생산유발계수 1.67은 펜션주택 1.45, 보금자리주택 1.65, 택지개발의 생산유발계수 1.5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행복주택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큼으로 내수경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건설경기의 지속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stimate the economic impact of the Happyhouse in the national economy by using the data of 2014 Housing Services Manual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economic impacts of the Happyhouse are analyzed under fields : Production, Import, Value Addition and Employment.
(2)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methods is a static Input-Output(I-O) analysis. The data for this analysis has been used the I-O table of 2011 which is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in 2013.
(3) RESEARCH FINDINGS
The suggestions that are made from this study are follows : 1. The overall impact of product will be 4,052.7 billion won and the product induction ratio could be 1.67. The gross impact of import will be 152.2 billion won. The gross value added generated from the production will be 1,766.7 billion won and the value added induction ratio could be 0.73. Also, to be measured that 28,959 job will be created due to the Happyhouse construction. 2. This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1.67 times of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of the Happyhouse is higher than the 1.45 of Pention Housing, 1.65 of the Bogeumjari Housing and 1.50 of the development of housing site.
2. RESULTS
For this above macroeconomic analysis ,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Happyhouse have a big positive impact in the national economy. It is need to continually invest and construct the Happyhouse for turning around of the country economy.
목차
Ⅰ. 서론
Ⅱ. 행복주택의 현황과 선행연구
1. 행복주택의 현황
2. 선행연구
Ⅲ. 행복주택사업 분석의 이론적 모형
1. 행복주택사업의 산업분류
2. 행복주택사업 분석의 이론적 모형
3. 행복주택사업의 투입액
Ⅳ. 행복주택사업의 타산업 파급효과
1. 생산 및 수입유발효과
2. 부가가치유발효과
3. 고용유발효과
4. 산업간 전․후방효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