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ow Will a Consumer Sentiment Index on Unsafe Imported Foods Affect Willingness-to-Pay More for Local Foods and Satisfaction with Level on Dietary Life? - Focusing on Agricultural, Fishery, and Livestock Products -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전상민(Sang Min Ju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6호, 227~24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입식품 불안전체감도가 국산식품 추가 지불의도와 식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그 영향력에 대한 소비자의 사회인구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3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가설검정 결과, 수입식품의 불안전체감도는 국산식품 추가 지불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국산식품 추가 지불의도는 식생활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단, 수입식품 불안전체감도가 식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아 국산식품 추가 지불의도가 수입식품 불안전체감도와 식생활 만족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식품 불안전체감도 → 국산식품 추가 지불의도에 대한 연령대와 성별, 소득, 학력 수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국산식품 추가 지불의도 → 식생활 만족도에 대해서는 연령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수입식품의 안전관리와 국산식품의 경쟁력 강화방안, 소비자 안전교육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a consumer sentiment index on unsafe imported foods influences willingness-to-pay more for local foods and satisfaction with dietary life.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moderating role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 the above-mentioned relationship. Using food consumption research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this study shows that a consumer sentiment index on unsafe imported foods positively affects willingness-to-pay more for local foods, and this in turn positively influences satisfaction with dietary life. A consumer sentiment index on unsafe imported foods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with dietary life, and the mediating role of willingness-to-pay more for local foods was is fully supported. No socio-demographic variables moderate significant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x information and willingness-to-pay more for local foods. Only age significant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illingness-to-pay more for local foods and satisfaction with dietary life. The results provide useful data for safety supervision concerning imported foods, enhancement of competition in the local food industry, and safety education for consumer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및 가설설정
Ⅲ. 연구설계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