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isk Factor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Ocular Hypertension after Primary Repair of Open Globe Injur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강연수(Yeon Soo Kang) 박상우(Sang Woo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8, 1242~1247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국문 초록
목적: 외상으로 인한 안구열상의 수술 후 발생한 고안압증의 위험인자 및 임상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수상 당일 수술을 시행 받은 안구열상 환자 284명, 284안을 대상으로 수상 직후 최대교정시력, 열상의 길이, 열상의 위치, 홍채손상의 유무, 수정체손상의 유무, 안구내이물의 유무, 유리체출혈의 유무, 수술 6개월 후 최대교정시력, 수술 1달 이후의 평균 안압을 분석하였다. 고안압증은 수술 1달 이후 안압이 21 mmHg 이상으로 3회 이상 측정될 때로 정의하였다.
결과: 284안 중 14안에서 고안압증이 발생하였다. 고안압군의 수상 직후 최대교정시력은 정상안압군보다 유의하게 나빴고(2.43 ± 1.04, 1.76 ± 1.30, p=0.033), 다변량분석에서 안구내이물(p=0.038; odds ratio [OR], 3.584; 95% confidence interval [CI], 1.075-11.941),유리체출혈(p=0.028; OR, 3.971; 95% CI, 1.157-13.624)이 있을 때 고안압증의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다. 고안압군과 정상안압군 모두에서 수술 후 최대교정시력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고안압군에서 약물치료는 9안(64.3%) 수술적인 치료는 5안(35.7%)에서 시행되었고, 치료 후 유의하게 안압이 하강하였다(28.1 ± 4.7, 15.8 ± 3.8, p<0.01).
결론: 외상으로 인한 안구열상에서 수상 당시 안구내이물, 유리체출혈이 있을 때 수술 후 고안압증이 생길 확률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고안압증은 약물치료 또는 수술적 처치에 좋은 치료 결과를 보인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ocular hypertension (HTN) after repair of open globe injury (OGI).
Methods: In a retrospective study of 284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repair of open globe injury at the day of trauma,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t the time of trauma and 6 months postoperatively, length of laceration, location of laceration and mean intraocular pressure (IOP) at 1 month after primary repair were analyzed. Presence of iris injury, lens injury, intraocular for-eign body (IOFB) and vitreous hemorrhage (VH) were also analyzed. Ocular hypertension was defined as elevation of IOP great-er than or equal to 21 mm Hg over 3 measurements.
Results: Fourteen (4.93%) of 284 patients had ocular hypertension. BCVA (log MAR) at the time of trauma in the ocular HTN group was significantly worse than in the normal IOP group (2.43 ± 1.04 and 1.76 ± 1.30, respectively, p = 0.033).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ocular HTN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OFB (p = 0.038; odds ratio [OR], 3.584; 95% confidence interval [CI], 1.075-11.941) and VH (p = 0.028; OR, 3.971; 95% CI, 1.157-13.624). BCVA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repair in both groups and mean IOP was well controlled after medical therapy (9 eyes) or surgical treatment (5 eyes) in the ocular HTN group (28.1 ± 4.7 and 15.8 ± 3.8, respectively, p < 0.01).
Conclusions: Ocular HTN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OFB and VH at the time of trauma after repair of OGI and can be effec-tively treated by medication or surgical approach.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