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ness(Teacher-Student),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Flow of Korean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유다미(Yu, Damee) 안도희(Ahn, Doeh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3권 제3호, 219~239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관계성(교사-학생)과 정서조절 및 학습몰입 간의 상호관련성과 이들 변인들에 대한 성차를 살펴보고, 지각된 관계성(교사-학생)과 정서조절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과 이에 대한 성별에 따른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은 서울, 경기 및 인천에 거주하는 중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321명이며, 이들의 성별분포는 남학생이 174명(54.2%), 여학생이 147명(45.8%)으로 평균연령은 13.4세 이었다. 본 연구 결과, 관계성(교사-학생)과 정서조절 및 학습몰입은 상호 유의미한 정적 관련을 보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관계성의 세 하위 요인들과 학습몰입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성의 ‘정서’ 요인과 ‘유 용성’ 요인이 정서조절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조절을 통해 학습몰입에 간접적으 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계성의 하위 요인들 중 ‘유용성’ 요인만이 학습 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변인들에 대한 경로모형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relatedness(teacher-student),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flow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321 students (i.e., 174 males, 147 female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Korea. Their average age was 13.4 years.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had stronger relatedness(teacher-student) and learning flow than female studen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participants supported that relatedness(teacher-student) had positi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learning flow. Also, students' emotional regulation mediated between relatedness and learning flow.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there were not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bserved.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in school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