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자책의 수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763

영문명
Acceptance Decision Factors of the e-Book :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발행기관
한국출판학회
저자명
김경일(Kim, Kyungil)
간행물 정보
『한국출판학연구』통권 제68호, 5~28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0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자책을 이용하고 있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전자책 이용 동기를 파악하고,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그리고 전자책 이용지속의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크게 전자책 이용 동기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전자책 이용 동기가 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분류하여 그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추출된 전자책 이용 동기(상호교류동기, 기분전환동기, 재미/흥미동기)가 지각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기분전환동기와 재미/흥미동기가 지각된 용이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호교류 동기는 지각된 용이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자책 이용 동기(상호교류동기, 기분전환동기, 재미/흥미동기)가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자책 이용 동기 중 상호교류동기는 지각된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기분전환동기는 지각된 유용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자책 이용 동기(상호교류동기, 기분전환동기, 재미/흥미동기)가 전자 책 이용자들의 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자책 이용 동기 중 상호교류동기를 제외 하고 기분전환동기와 재미/흥미동기가 전자책 이용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자책 이용과 관련하여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지각된 유용성은 전자책 이용지속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지각된 용이성은 이용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to find a motive of e-book usage and figure out relationship among the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s subject is sorted into three part: the influence e-book usage motive has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the influence e-book usage motive ha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and the influenc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ha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The result were as followed. First, as result of research about how the usage motive of e-book(interchange, refreshingness and fun/interest motive) from this study impact on perceived ease of use, refreshingness and fun/interest motive influence positively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rchange motive influence negatively on perceived ease of use. Also, as result of research about how the usage motive of e-book(interchange, refreshingness and fun/interest motive) from this study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interchange motive among the usage motive of e-book influence positively on perceived usefulness and refreshingness influence negatively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as result of research about how the usage motive of e-book(interchange, refreshingness and fun/interest motive) from this study impa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refreshingness and fun/interest, except interchange, influence positively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Third, relate to usage of e-book, as result of research about how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impa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perceived usefulness doesn't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but perceived ease of use influence positively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일(Kim, Kyungil). (2014).전자책의 수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 5-28

MLA

김경일(Kim, Kyungil). "전자책의 수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2014): 5-2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