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How to Use Twitter Hashtags in Real Estate Marketing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김윤기(Kim, Yun Ki)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31권 제1호, 111~12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부동산 마케팅 전문가들이 트위터 해시태그를 그들의 마케팅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기술하고 비교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의 진술을 기초로 본 저자는 4개의 연구질문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질문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다른 계정보다 많은 트윗을 포스팅하고 해시태그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5개의 부동산 마케팅 트위터 계정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명의 부동산 마케팅 전문가들이 2014년 12월 23일부터 12월 30일까지 8일 동안 포스팅한 모든 트윗과 리트윗을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위의 자료들을 기술적 분석(descriptive analysis)과 비교분석(comparative analysis)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동산 마케팅 전문가들이 실무에서 활용하고 있는 트윗 당 해시태그의 평균 수, 해시태그의 길이, 해시태그의 유형 그리고 해시태그의 콘텐츠에 있어서 표본 간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하여 4개의 연구 질문에 대한 답변은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해시태그를 이용한 마케팅전략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몇가지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compare how different real estate marketing professionals use Twitter hashtags in their marketing.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author developed four research questions. The author chose five real estate marketers as his sample in order to find answers to those research questions because they posted more tweets than others and they actively used hashtags in their marketing. All the Twitter hashtags that were posted between December 23, 2014, and December 30, 2014, by five real estate marketing professionals were collected. The author tried to examine all the hashtags that were posted by the five real estate marketers and conducted both a descriptive analysis and a comparative analysi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ubstantial variations in the average number of hashtags per tweet, the length of hashtags, the types of hashtags, and the content of hashtags the real estate marketing professionals use in their marketing. Therefore, answers to four research questions turned out to be positive.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is author suggested several measures for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hashtags marketing strategy.
목차
1. Introduction
2. Review of Literature
3. Methodology
4. Results
5. Discussion
6.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