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Experiential Factors for a City Brand Evaluation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전기흥 오영택 Jeon, Ki-Heung Oh, Young Taek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3권 제3호, 41~47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도시는 과거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인간의 삶의 모습이 응축되고 투영되는 공간이다. 도시에는 각 도시의 고유한 사회, 문화, 교육 그리고 정치, 종교 등의 독특한 모습이 곳곳에서 나타난다. 도시의 고유하고 차별화된 특성이 도시의 독특한 개성 이미지이다. 도시를 방문하는 방문객은 이런 도시의 색깔을 경험한다. 도시의 경험 요인은 도시 평가 및 재방문의 이유가 된다. 본 연구는 도시를 평가하는 이유를 도시의 경험적 요인에서 찾고자 하였다. 각 경험적 요인은 크게 이성적 요인으로 대표되는 신뢰, 감성적 요인으로 대표되는 감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지역은 전주, 청주, 대전, 원주, 제주 등 5개 도시이다. 이 도시를 방문하는 외지인을 대상으로 도시의 경험적 요인이 도시 브랜드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경험 요인은 유희적 요인, 심미적 요인, 지적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나누었다. 분석결과, 지적 경험, 사회적 경험은 도시 브랜드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유희적 경험, 심미적 경험은 도시 브랜드 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신뢰는 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신뢰와 감성이 긍정적일수록 도시 브랜드 평가가 긍정적이었다.
영문 초록
From the past to the modern, a city is the space to condense and project human life. We can see lots of social, cultural, educational, political, and religious things unique to a city. The unique and differential features of a city is personality image. Those who are visiting a city can experience these various aspects. The experiential factor of a city is the reason why people evaluate and revisit that city. The study was purposed to figure out how people can evaluate a city based on the experiential factor of a city. Experiential factors are composed of trust which represent a rational facet and emotions which represent a emotional facet. This survey was conducted in Jeonju, Cheongju, Daejeon Wonju, and Jeju. The sampling frame is those who visited these cities.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how experiential factors for a city could affect an evaluation of urban brand. Experiential factors are composed of amusing factor, aesthetic factor, intellectual factor and social factor. As research results, both intellectual factor and social factor had an positive effect on brand trust. Amusing factor and esthetic factor positively affected city brand emotions. Trust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emotions. More positive trust and emotion was, more positive a city brand evaluation was.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III. 연구방법
I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