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Parents Abuse Experience and the Influence of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ator on Youth Delinquent Behavior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조제성 김현동 Cho, Je Seong Kim Hyun Dong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1권 제1호, 169~188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부모로부터 학대받는 우리나라 청소년 실태를 조사하여, 학대경험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일반긴장이론을 근거로 끊임없이 주목되어지는 청소년 학대문제를 다루면서 실제 학대 경험이 청소년 비행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매개변수로서 심리적 불안요인이 두 변인사이의 작용여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모의 학대는 간접학대와 직접학대로 구분하였으며, 심리적 불안요인을 매개로 놓고 학대경험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활용하였다. 연구자료는 2013년 9월 16일부터 10일간 전국 중․고등학생(52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데이터를 바탕으로 한다. 연구결과 전체학대경험 37.9%로 간접경험 13.8%, 직접경험 14.0%로 나타났다. 그리고 Sobel test 결과 심리적 불안요인이 부모학대와 비행행동 사이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verify that abuse experiences have an effect on youth wrongdoing with result of investigation regarding to youth who is experienced at abuse by parents in Korea. It verifies how abuse experiences have an influence on youth wrongdoing and It is based on general strain theory with youth abuse issue which is constantly focused in Korea. In addition, Its purpose is to get a point that psychologic unstable factor is related to two variable Abuse by parents is classified into direct-abuse and indirect-abuse. In order to look into how abuse experiences have an effect on youth wrongdoing by setting psychologic unstable factor to parameter, it makes use of sobel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data is based on survey targe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10 days from 18.SEP.2013 The result of research shows total abuse experiences(37.9%). Indirect-experience is 13.8% and direct-experience is 14.0% and psychologic unstable factor proves that it is connected to perfect mediated between abuse by parents and wrongdoing. Furthermore, Multi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youth who had experienced parents abuse victim were more likely to commit The influence of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 that anxiety on youth delinquent behaviors. Further policy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