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informal care resources on women’s fertility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이하나 최영 Hana Lee 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7집 2호, 262~2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공식적 돌봄자원이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여성정책연구원의 2011년 제3차 여성가족패널자료 (KLoWF)를 활용하여 20세에서 39세의 가임기 기혼여성 2,001명을 선정하였고, 친정부모와 시부모가 자녀를 위한 비공식 돌봄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들 자원의 존재여부가 기혼여성의 자녀출산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분석 및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징으로는 응답자의 연령, 동거가족원수 등이, 독립변수로 선정한 시부모와의 접근성, 시부모와의 관계성 등이 기혼여성의 출산의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 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응답자의 연령이 어릴수록, 동거가족원 수가 적을수록, 시부모와 거주지가 가까울수록, 시부모와 관계가 원만할수록 기혼여성의 출산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몇가지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look at the effects of informal care resources on women’s fertility intension, specially focused on grandparent caregiving role. For this, this study used the 3th National Women and Families Panel(KLoWF) data collected from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on 2011. Informal care resource was conceptualized as the physical (residence distance) and psychological(emotional relationship) distance between respondents and their parents.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idence dist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law and respondents, the age of respondents, and the number of family living were identifi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explaining women’s fertility intension. Based on that, several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