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view of ‘Media’ Concept Appeared in Korean Common Curriculum”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저자명
- 하채현 Ha, Chae-hyun
- 간행물 정보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34권 2호, 97~119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매체’가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다고 보고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매체의 개념과 범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국어교육 논의에서 매체의 유형을 분류하면서 밝힌 매체의 개념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국어과 공통교육과정에 나타난 용어 ‘매체’를 떼어내어 조목조목 살펴 보았다. 분석한 결과, 국어교육과정 문서에서 각기 다른 개념과 범주로 매체라는 용어를 쓰고 있었다. 이에 본고는 의사소통 관점에서 매체교육을 생각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매체를 수단, 메시지, 도구, 채널로 유형화하여 그에 따른 성격과 특성을 밝혔다. 이를 기준으로 현행 국어과 공통교육과정의 매체교육을 좌표로 표시하여 이해하였다. 국어교육에서 매체의 개념과 범위를 합의하고 매체교육의 수준과 방법을 논의하는 일은 국어교육의 본질과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 중 하나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was a critical review the ‘media’ of the term appeared in Korean common curriculum. The parts are there still does not explain to a medium. This is the premise of this article. For the purposes was highlighting the ‘media’ term in the Korean common curriculum. So, I analyzed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media on discussed in terms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this, this paper argues that the media should be redefined in terms of Korean education. And than I proposes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media’. First, I propose that access to the four types with respect to the medium. It is a tool, message, channel, machine. Second, with new concepts and new types of media, I hope to clean up the levels and methods of media education. I believes What is discussed in the media is one to check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I. 문제 제기
II. 국어교육에서 매체의 개념
III. 성취 기준에 나타난 매체의 개념
IV. 의사소통 관점에서 본 매체의 성격과 유형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