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riterion-referenced Teacher Effectiveness Estimation: An Application of Item Response Model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함은혜(Eun Hye Ham)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8권 제2호, 553~57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준거지향 교사효과성 추정 방법으로, 문항반응이론의 기본 개념과 수리적 모형을 활용하여 개별 교사의 효과를 추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기존 부가가치모형과의 비교를 통하여 새로운 모형의 활용가능성을 경험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 미국 미시건주의 대규모 교사-학생 연계데이터가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반응모형을 활용한 교사효과성 추정치는 일반적인 부가가치모형에서 산출되는 교사부가가치 추정치들과 .8 이상의 높은 상관을 보여, 제안된 모형의 추정치가 합리적인 범위 안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모형의 적합도를 진단한 결과, 일부 지수에서 적합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모형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모형이 제공하는 교사수행능력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의 정책적 유용성과 모형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향후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series of criterion-referenced teacher effectiveness estimation models, which applies basic concepts and mathematical models of item response theory, and to evaluate whether the models are executable and the estimates are reasonable, along with the comparison with current value-added models. Teacher-student linked data from a large northern state in US was used in this stud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ank correlations between the teacher effect estimates from the criterion-referenced effectiveness models and those from the value-added models were above .8.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several model fit indices, some misfit was found. Implications of applying the criterion-referenced teacher effectiveness estimation and future directions for expanding the method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준거지향 교사효과성 추정 모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