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Item Order and Gender on the Accuracy of Estimation for Ability Parameters and Test Anxiety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홍은지(Eun Ji Hong) 성태제(Tae Je Seong)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8권 제2호, 361~37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문항의 배열순서가 다른 검사유형과 피험자의 성별이 피험자 능력추정의 정확성과 시험불안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76명을 계열과 성별, 사전능력을 고려한 3개의 균등집단으로 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으로 배열된 유형(A형), 어려운 문항에서 쉬운 문항으로 배열된 유형(B형),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 다시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으로 나선형으로 배열된 유형(C형)의 수학 성취도 검사를 각 집단에 한 유형씩 시행하였다. 또한 각 검사유형에 따라 발생하는 피험자들의 시험불안을 측정하고자, 수학 성취도 검사 전후로 시험불안 검사를 시행하였다. 문항반응이론으로 피험자들의 능력모수와 그에 따른 추정오차를 추정하였다.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검사유형에 따른 능력모수 추정오차는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나 검사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Scheffe검정 결과 A형과 B형, A형과 C형, 그리고 B형과 C형에 대비가 유의하였다. A형에 의한 추정오차가 가장 낮았고, C형, B형의 순으로 높아졌다. 피험자들의 사전 시험불안을 통제한 교정 시험불안이 검사유형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이원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검사유형에 따른 교정 시험불안은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에 따른 차이나 검사유형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Scheffe 검정 결과 A형과 B형, A형과 C형에 대비가 유의하였다. A형에서 교정시험불안이 가장 낮았고, C형 그리고 B형 순으로 높았다. 마지막으로 시험불안과 능력모수 추정오차와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시험 도중에 발생하는 시험불안과 능력모수 추정오차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이 있었다. 이로써 문항의 배열순서로 검사 도중에 발생하는 시험불안이 능력모수를 추정하는 과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검사수행 시의 피험자의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피험자 능력추정을 신뢰롭게 추정할 수 있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item order and gender influence the accuracy of estimation for ability parameters and test anxiety. This study targeted 176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equivalent groups. The achievement test on math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test starting with easy questions and becoming progressively more difficult(Type A); the test starting with difficult questions and proceeding to easier questions(Type B); and the repetition of Type A in order(Type C). Three types of test were assigned to each group. Test anxiety was also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item order and gender on the standard error of the estimated ability were verified through 2-way ANOVA. The only main effect of item order was significant. The standard errors of the ability estimates were lowest in Type A. These values were high in Type B or Type C. Second, the effect of the item order and gender on calibrated test anxiety through 2-way ANCOVA. Also, only the main effect of item order was significant. The calibrated test anxiety was lowest in Type A.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librated test anxiety and the standard error of the estimated ability. In conclusion, Type A reduced test anxiety and increased the accuracy of measuring ability more than the other two types of test. This study can provide teachers with the practical guideline of producing accurate test. Furthermore, researchers related to item, order in differential characteristic test need to be continuously perform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Ⅲ. 연구방법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