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태블릿 PC 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어휘 선택 경로가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AAC 어휘표현 정확도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661
- 영문명
- The Performance of Korea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Dynamic AAC Technologies with Different Language Organization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유경(Yu Gyeong Lee) 이현정(Hyun Jung Lee) 김영태(Young Tae Kim) 연석정(Seok Jeong Yeon)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2, 344~353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최근 보급이 증가하고 있는 태블릿 PC의 역동적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AAC 어휘 경로 유형이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어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생활연령이 만 4;0-6;8세인 경도 지적장애아동 13명을 실험집단으로, 지적장애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3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3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방법은 각각의 어휘 경로 유형(범주적 배열 및 공간적 배열)에서 정확도 평가를 실시한 후, 동시에 제시된 어휘 경로 유형(범주적 배열 및 공간적 배열)에서 선호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지적장애아동(ID)집단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CA-N)집단에 비해 AAC 어휘표현 정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나,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LA-N)집단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배열 선호도에서는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논의 및 결론: 결과를 통해 역동적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AAC의 어휘 선택 경로를 장애군에 따라 특정한 어휘 선택 경로로 한정하여 지정하기보다는 아동의 개인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어휘표현을 할 수 있도록 어휘 선택 경로를 유연하게 배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Ko-rean children with normal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systems with different language organizations. Methods: Thirty-nin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3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age 4 to 6, 13 chronological age-matched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CA-N), and 13 language age-matched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LA-N). Participants were asked to locate AAC vocabulary items using either category-based or place-based language organization. They performed two tasks: an accuracy testing task and a preference testing task. The 27 items (18 items for accuracy test and 9 items for preference test) were selected from lists of words frequently used by young children. All vocabulary items were concrete noun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n the groups (ID, CA-N, and LA-N) and types of AAC language organization (categorical vs. placed-related). The ID and LA-N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ffects in the placed-related organization than categorical, while the CA-N group did no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lan-guage organization preference tes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consider-ing the performance of ID children on different types of AAC vocabulary navigation using dynamic display AAC technologies.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