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andardization of the Language Scale for School-Aged Children (LSSC)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윤경(Yoon Kyoung Lee) 허현숙(Hyun sook Heo) 장승민(Seung min Ja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2, 290~303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표준화 언어검사는 언어장애 아동을 판별하는 데 필수적이나 아직까지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개발된 표준화 언어검사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기 언어장애 아동을 판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표준화 검사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한 검사 구성 및 문항 개발, 1차 178명과 2차 182명 아동을 대상으로 2회에 걸친 예비검사 실시 및 검사 타당도 및 문항 분석을 통한 검사 수정, 예비 검사를 통해 확정된 '학령기 아동 언어 검사(LSSC)'에 대해 총 70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표준화 검사 실시 순서로 진행하였다. 표준화 검사에 대한 타당도는 LSSC와 REVT 및 K-WISC-III 언어성 검사와의 공인타당도와 하위검사와 언어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로 측정하였다. 신뢰도는 검사의 문항 내적일치도와 반분신뢰도, 그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LSSC는 REVT-R/-E와 높은 공인 타당도를 보였으며, 언어지수와 하위검사 간에도 높은 구인타당도를 보였다. 검사내적일치도와 반분신뢰도, 재검사 신뢰도를 통한 신뢰도 측정 결과도 모두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검사 개발 및 표준화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검사는 학령기 아동의 언어평가와 언어장애를 진단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While the number of school-aged children who need speech-language ther-apy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standardized language tests for identifying those with language disorders are still limited.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a standardized language test for school-aged children, the Language Scale for School-aged Children (LSSC).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composing subtests and developing item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alyzing the validity of the test and discriminant and difficulty of items, revising the test through two preliminary examinations (1st N= 178, 2nd N= 182), and standardizing the test (LSSC) with 700 children samples. Results: The LSSC demon-strated high concurrent validity with the REVT-R/-E and high construct validity measured by the correlation of the language quotients of the LSSC and subtests. The reliability was measured by internal consistency, split-half, and test-retest methods which showed that the LSSC is highly reliable test. Conclusion: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developing the procedures,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est. The LSSC will be useful for identi-fying school-aged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as well as for assessing the language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