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municative Gestures in Toddler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nd Their Relations to Language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윤경(Yoon Kyoung Lee) 이효주(Hyo Joo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2, 255~26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의사소통적 제스처는 영아의 주요 의사소통 수단이 되며 이후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영아의 의사소통적 제스처 사용 특성을 일반 영아와 비교하고 제스처 사용과 언어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18-24개월 사이의 언어발달지체 영아 10명과 비교집단으로 생활연령 일치 일반 영아 10명, 언어연령 일치 일반 영아 10명, 총 30명이었다. 모든 영아에게서 개별적으로 CSBS DP의 4가지 의사소통 행동 유도절차와 자유놀이 절차를 통해 행동표본을 수집한 후 전체 제스처 사용 빈도와 유형별(지시적, 관습적, 표상적) 빈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언어발달지체 집단이 생활연령 일치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의사소통적 제스처 사용을 보였으나 언어연령 일치 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제스처 유형에 따라서는 지시적 제스처에서 언어발달지체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인 반면, 표상적 제스처와 관습적 제스처에서는 영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제스처의 세부 행동에서는 가리키기와 주기에서만 언어발달지체 집단이 생활연령 일치 영아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언어발달지체와 언어연령 일치 집단은 전체 제스처 및 지시적 제스처 빈도가 SELSI 및 K M-B CDI와 정적상관을, 생활연령 일치 집단은 전체 제스처 및 지시적 제스처 빈도가 K M-B CDI의 표현어휘수와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를 기초로 의사소통 제스처와 언어발달 간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Using communicative gestures are one of the related factors of language de-velopment in toddler peri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mmunicative gestures in toddlers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DLD) and their rela-tions to language develop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 toddlers with DLD, 10 typically developing chronological age-matched toddlers (CA-matched group), and 10 typically developing language age-matched toddlers (LA-matched group). Communica-tive gestures were measured with a specific coding scheme consisting of deictic, represen-tational, and conventional gestures in behavior sampled through the 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s Developmental Profile (CSBS DP) and free play for 5 minut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The DLD group produced a significantly lower fre-quency of communicative gestures than the CA-matched group,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A-matched group. Among the three types of gestures the DLD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A-matched group only in deictic gestures. The DLD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lower frequency in pointing and giving de-ictic gestures than the CA-matched group. The total frequency of gestures and frequency of deictic gestu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age as measured by the Sequenced of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in the DLD group and the LA-matched group, however they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expressive vocabulary measured by the Korea MacArthur-Bates Communication Development Inventory (K M-B CDI) in the CA-matched group. Conclusion: We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gestures and DLD based on these results.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