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Computerized Language Intervention on Abilities of Time-Person-Place Orientation and Naming for Individuals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강지윤(Ji Yun Kanga) 성지은(Jee Eun Sung) 이수은(Soo Eun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2, 237~25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DAT)를 대상으로 컴퓨터프로그램을 활용한 지남력과 명사 이름대기 중재를 통해 지남력 및 명사 이름대기와 이해 과제에서 수행력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중등-중증도 DAT 환자 7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6명이 결과 분석에 포함되었다. DAT 환자에게 컴퓨터프로그램을 활용한 지남력 및 의미자질분석에 근거한 명사 이름대기 중재를 실시하여 지남력, 명사 이름대기의 중재 효과 및 일반화 효과를 사전-사후평가로 비교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장소와 사람 지남력은 사후 수행력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시간 지남력은 사후 수행력이 감소하여 중재 효과가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명사 이름대기 중재 후 중재 명사 이름대기는 사후 수행력이 증가하였으나, 비중재 명사 이름대기는 수행력이 감소하였다. 이는 명사 이름대기 중재가 중재 명사에는 도움을 주었으나, 비중재 명사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명사 이름대기 중재가 중재 및 비중재 명사 이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중등-중증도의 DAT 환자에게 지남력 및 명사 이름대기 중재 후, 중재한 자극에 대해 수행력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중등-중증도 DAT 환자의 언어중재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uterized language intervention on the abilities of time-person-place (TPP) orientation and noun naming for Korean-speaking individuals with moderate to severe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DAT). Methods: A total of seven individuals with moderate to severe DAT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six participants were entered into the data analysis. The treatment consisted of two parts: TPP orientation and naming treatment based on Semantic Feature Analysis (SFA)-plus. Dependent measures were accuracy on the TPP, noun naming, and noun com-prehension tasks with treated and untreated items. Performance on the tasks was mea-sured pre- and post-treatment, with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used to examine signifi-cant differences. Results: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person and place tasks after treatment,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e-do-main.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trained nouns for naming were found whereas treatment effects were not generalized to untrained naming items and noun comprehension do-mains.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moderate to severe DAT participants benefited from language intervention especially in the domains of place-person orienta-tion and noun naming. However, there were some limited generalization effects on un-trained items after treatment.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