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ubjective Language Complaints: Are They Reflected in Objective Language Test Performance?
이용수 16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보선(Bo Seon Kim) 이미숙(Mi Sook Lee) 김향희(Hyang Hee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2, 214~221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주관적 언어호소(subjective language complaints, SLCs)는 노년층에서 자주 보고되고 있으나, SLCs와 여러 언어 기능 사이의 관계는 연구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SLCs가 여러 객관적 언어 검사의 수행력과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SLCs가 어떤 인구통계학적 요인들과 관련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376명의 정상노년층(평균 연령 74.21±6.56)을 대상으로 두 개 질문으로 이루어진 SLCs와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수집했다. 또한, 본 노년층의 생성이름대기, 문장 이해하기,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 단축형(15-item Korean version-the Boston Naming Test, K-BNT-15) 결과와 SLCs의 관계를 다중회귀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SLCs는 K-BNT-15 결과를 반영할 수 있었으며, 노년층의 나이, 교육연수, 우울증, 직업유무와 관련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결과는 SLCs가 노년층에서 가장 자주 호소되는 단어인출의 어려움을 반영하며, 교육과 직업을 통한 언어적 노출 및 사회적 상호작용이 노년층의 언어감퇴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Subjective language complaints (SLCs) are frequently reported among the el-derly. However, SLC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various language functions have not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explore whether SLCs can be related to performance in various objective language tests and to determine which demographic variables are associated with SLCs. Methods: This study gathered responses from 376 elderly participants (mean age, 74.21 ± 6.56 years) to two questions regarding SLCs and demographic information. We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LCs and verbal fluency, sentence comprehension, and naming ability (15-item Korean version of the Boston Naming Test [K-BNT-15])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data re-vealed that SLCs are associated with K-BNT-15 performance. Such demographic variables as age, education, depressive symptoms, and job status were related to SLC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LCs reflect a difficulty in word retrieval, which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language complaints of the elderly; however, varying linguistic expo-sure and social interaction through education and employment may reduce the perceived language decline.
                    목차
Abstract
	                       
	                          METHODS
	                       
	                          RESULTS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