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coustic Properties of Korean Stops as L1 Produced by L2 Learners of the English Language
이용수 25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윤석연(Sook Youn Yoon)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2, 178~188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제2언어로 영어를 습득한 한국인 아동과 성인이 한국어 폐쇄음을 산출했을 때 음성개시시간 (voice onset time, VOT)과 기본주파수 (fundamental frequency, F0)에 있어서 한국어만 사용하는 아동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또한 영어노출시기가 제1언어인 한국어 산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18명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과 성인, 18명의 한국어 단일어 아동은 한국어 폐쇄음이 포함된 9개의 음절 (/phε, pε, p*ε, thε, tε, t*ε, khε, kε, k*ε/)을 두 번씩 반복하여 산출하였다. Praat를 이용하여 산출 된 총 1,890개 음절의 VOT와 F0의 정격값을 측정하였고, 통계분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개의 3-way ANOVAs 결과에 따르면, 이중언어 아동과 성인이 산출한 격음과 평음의 VOT와 평음의 F0는 단일어 아동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가졌다. 하지만, 영어에 노출된 기간은 유사하나 노출시기가 다른 아동집단과 성인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제2언어로 영어를 습득한 아동과 성인이 산출한 평음의 VOT와 F0가 통제집단의 격음과 닮아갔고 또한 이로 인해 격음의 VOT도 증가했다는 점에서, 제2언어습득이 한국어 폐쇄음의 음향적 특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영어에 노출된 기간이 비슷한 아동집단과 성인집단의 차이가 없다는 것으로 미루어, 노출시기만으로는 제1언어에 대한 제2언어의 간섭효과를 예측하기에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examines whether Korean children and adults who have learned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L2) produce Korean stops differently from Korean monolingual (KM) children with respect to voice onset time (VOT) and fundamental fre-quency (F0) and whether the age of L2 exposure is a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L2-to-L1 influence. Methods: Eighteen Korean-English bilingual (KEB) children and adults and eighteen KM children produced nine monosyllables /phε, pε, p*ε, thε, tε, t*ε, khε, kε, k*ε/ twice in a row. A total of 1,890 tokens were acoustically analyzed with Praat to obtain VOT and F0 values and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for group comparison. Results: Two three-way ANOVAs and follow-up statistics revealed that the VOT values of aspirated and lenis stops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KEB children and adults than in KM children and that nor-malized F0 values of lenis stop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ilingual than in monolingual individuals. Nonetheles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KEB children and adults. Conclusion: The acquisition of L2 English appears to disturb a tertiary contrast of Korean stops in terms of VOT and F0, in a way that bilingual individuals produc ed lenis stops more aspirated-like, with increased VOT and F0 values, and aspirated stops with in-creased VOT values. The L2-to-L1 influence may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rly and late L2 learners, if their length of residence in a L2 speaking community is similar.
목차
Abstract
METHODS
RESULTS
CONCLUSIONS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